중국 반도체기업이 자체기술로 개발한 낸드플래시를 공개하고 양산계획을 밝혔지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선두기업을 따라잡기는 역부족인 것으로 분석됐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9일 "중국 YMTC가 자체기술을 적용한 3D낸드를 공개하고 10월부터 양산할 계획을 밝혔다"며 "하지만 기존 반도체기업들과 경쟁력 차이가 크다"고 바라봤다.
▲ 김기남 삼성전자 DS부문 대표이사 사장(왼쪽)과 박성욱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 |
중국 국영 반도체기업 칭화유니그룹 계열사인 YMTC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반도체세미나 '플래시메모리서밋'에서 32단과 64단 3D낸드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3D낸드는 낸드플래시의 성능과 생산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핵심기술이다.
그동안 업계에서 중국 반도체기업들이 자체 3D낸드 기술 확보에 성공하면 양산을 곧바로 시작해 업황악화를 이끌 수 있다는 전망이 많았다.
하지만 도 연구원은 "삼성전자를 비롯한 기존 낸드플래시업체가 QLC(쿼드레벨셀) 등 첨단공정을 적용하며 경쟁력 차이가 커지고 있다"며 "YMTC의 기술력은 크게 낮은 수준"이라고 파악했다.
황민성 삼성증권 연구원도 "YMTC가 3D낸드 개발과 양산일정을 앞당기며 기술발전을 증명했지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주요 업체에 크게 위협적이지 않다"고 분석했다.
YMTC의 32단 3D낸드 생산원가가 주요 경쟁사보다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64단 3D낸드에서도 실제 원가격차를 크게 줄이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황 연구원은 "YMTC의 반도체 관련 인력은 3천 명 정도로 삼성전자의 3만8천 명, SK하이닉스의 2만5천 명과 비교해 턱없이 적다"며 "기술개발과 양산 목표를 이루기 어려울 것"이라고 바라봤다.
YMTC가 63단 3D낸드 양산을 시작할 때 삼성전자는 128단, SK하이닉스는 96단 3D낸드 양산을 시작할 계획을 세우고 있는 점도 기술격차가 좁혀지기 어려운 배경으로 꼽힌다.
황 연구원은 "YMTC의 3D낸드 양산기술은 선두업체와 적어도 4~5년의 격차가 있다"며 "아직 양산기술을 학습하는 단계에 있기 때문에 이른 시일에 출하량을 늘리기 쉽지 않다"고 봤다.
중국 반도체기업은 낸드플래시뿐 아니라 D램기술 확보에도 고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기업을 노려 메모리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는 중국정부의 야심이 최소 수년 안에 성과로 나타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황 연구원은 "중국의 메모리반도체 사업화 가능성에 근본적 의문마저 들고 있는 상황"이라며 "중국은 반도체 기술력을 자신하며 홍보에 나서고 있지만 실제 시장 진출에 무리가 있다"고 파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