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회사들이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등 취약 신흥국가의 금융위기를 직면해도 글로벌 전체 경제문제로 번지지 않는 이상 큰 타격을 입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금융감독원이 11일 내놓은 ‘국내 금융회사의 대외 위험노출액(익스포져) 현황’에 따르면 국내 금융회사들은 3월 기준 전체 대외 위험노출액 2335억8천만 달러를 거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 1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금융회사들은 취약 신흥국가 4곳과 남유럽 국가 4곳에 전체 위험노출액의 6.7% 정도를 거래한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감독원> |
이 위험노출액은 국내 금융회사들이 보유한 전체 자산의 6.7% 수준이다. 2017년 말과 비교하면 3.6%(80억9천만 달러) 증가했다.
대외 위험노출액은 국내 금융회사들이 내준 외화대출과 외화 유가증권의 투자액에 외화 지급보증을 더한 것을 말한다.
형태별 비중을 살펴보면 외화 유가증권 투자 48.3%, 외화대출 45.8%, 외화 지급보증 5.9% 순이다.
외화 유가증권 투자액은 유럽 지역의 유가증권 등에 투자한 금액이 늘어난 영향으로 2017년 말보다 36억6천만 달러 증가했다. 외화대출액은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 아시아 지역에 빌려준 돈이 증가하면서 2017년 말보다 48억 달러 늘어났다.
금융회사의 위험노출액 비중을 권역별로 보면 은행 58.6% 보험 36.3%, 증권 4.7%, 여신전문금융사 0.4% 순이다.
국내 금융회사들은 3월 기준으로 아르헨티나, 터키,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 취약 신흥국가 4곳에 위험노출액 132억 달러를 거래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위험노출액의 5.6% 수준이다.
이탈리아, 스페인, 그리스, 포르투갈 등 금융시장이 불안정한 남유럽 국가 4곳에 내준 위험노출액은 23억1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체 위험노출액의 1% 정도다.
금감원은 “국내 금융회사들이 취약 신흥국가 4곳과 남유럽국가 4곳에 거래한 위험노출액은 전체 자산의 0.4% 정도로 이 국가들의 금융위기가 글로벌 금융위기로 커지지 않는 이상 감내할 수 있는 규모”라고 평가했다.
다만 대외 위험노출액이 한 국가에 쏠리는 등 위험요인이 생길 가능성에 대비해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을 세웠다.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 선제적으로 대응해 기획재정부 등 유관기관과 협조체계를 강화하고 국내 은행들의 외화 유동성 상황도 집중적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