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22일 미국 금리 인상이 확정된 뒤 기자들에게 “미국 금리 인상은 이미 예상됐던 일”이라며 “국내 금리 인상 시기는 여러 변수 때문에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실제로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상됐는데도 시장금리가 크게 오르지 않아 이 총재는 국내 기준금리를 빠르게 올려야 한다는 부담을 내려놓을 수 있게 됐다.
미국연방준비제도(Fed)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기로 결정했지만 미국 국채의 시장금리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6일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일주일 전보다 0.027%포인트 하락한 2.856%로 집계됐다.
미국 정부와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서로에게 무거운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긴장감을 조성하자 미국 국채로 자금이 몰려 시장금리를 떨어뜨리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다이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26일 “미국과 중국의 무역제재 본격화로 안전자산인 국채로 자금이 모여들었다”며 “이 때문에 미국채 금리가 하락했다”고 파악했다.
27일 국내 10년물 국채 금리도 일주일 전보다 0.036%포인트 떨어진 2.687%로 나타났다.
임정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준금리보다 시중금리 흐름이 영향을 더 크게 미친다”며 “이 총재도 금리 인상에 완화적 태도를 보여 국내 기준금리는 올해 3분기에 한 번 인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금리 차이가 계속 확대되면 결국엔 국내에서 자본유출이 일어날 위험성이 커질 것으로 분석됐다.
임혜윤 대신증권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이 떨어져 환율차이로 얻는 이익이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이로 얻는 이익보다 커 자금은 빠져나가지 않고 있지 않다”면서도 “앞으로 두세 차례 더 미국 금리가 높아지면 언제든지 자본유출은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