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순 한국은행 부총재보가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를 공식 지급수단으로 인정하는 데 부정적 입장을 나타냈다.

신 부총재보는 2일 서울 중구 호암아트홀에서 열린 ‘2017년 지급결제제도 콘퍼런스’에서 “가상화폐는 공식 지급수단이 아니고 거래에 따르는 잠재위험(리스크)도 크다”고 밝혔다.
 
한국은행 부총재 신호순 "비트코인 거래는 아직 잠재위험 크다"

▲ 신호순 한국은행 부총재보.


그는 “가상화폐의 법적 성격과 정의에 관련된 국제적 합의(콘센서스)가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다”며 “소비자가 가상화폐의 높은 가격변동성에 피해를 입을 수 있고 불법거래나 자금세탁에 악용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가상화폐를 면밀하게 지켜보면서 관련 연구를 강화할 뜻을 보였다.

신 부총재는 “가상화폐가 외환송금서비스에 이용되기 시작했고 기반으로 쓰인 분산원장기술(블록체인)이 지급결제 전반에 활용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며 “지급결제체계는 물론 금융기관과 시장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의 확대에 따른 사이버리스크도 우려했다.

신 부총재는 “지급결제 혁신이 많은 편리함을 불러왔지만 해킹과 정보유출 같은 새 리스크도 나타났다”며 “갈수록 커지는 사이버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사전예방뿐 아니라 침해사고가 터졌을 때 빠르게 해결할 복원력을 높이기 위해 정책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행의 역할을 놓고 “‘금융시장 인프라의 원칙(PFMI)’과 사이버복원력 가이던스 등 국제기준을 참고해 사이버복원력 평가지침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국내 지급결제인프라 운영기관들의 대응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