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협회장 인선에 관료출신이 다시 부상하고 있다.

정부가 바뀐 초기인 만큼 대관능력을 갖춘 관료출신에 힘이 실리는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독립성이 침해될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나온다.
금융협회 회장 후보로 다시 관료출신이 떠오르는 이유

▲ 김창록 전 산업은행 총재(왼쪽)와 윤용로 전 외환은행장.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협회들은 최근 차기 회장인사를 진행하거나 조만간 시작해야 하는데 지난 회장 인선과 비교해 관료출신이 유력후보로 거명되는 경우가 잦다.

손해보험협회는 26일 임원후보추천위원회 회의에서 최종 회장후보 1~2명을 결정하는데 현재 심사대상인 후보 3명 전원이 관료출신인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연합회도 조만간 정기 이사회를 열어 다음 회장후보의 선출절차를 시작하는데 김창록 전 산업은행 총재와 윤용로 전 외환은행장 등 관료 출신들이 하마평에 주로 오르내리고 있다.

손해보험협회와 은행연합회 회장이 모두 관료 출신으로 선출될 경우 생명보험협회와 금융투자협회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수창 생명보험협회장은 12월,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은 2018년 2월에 임기가 끝난다. 

현재 주요 금융협회 7곳의 회장들이 선출됐을 때와 사뭇 다른 분위기다. 임기를 마친 장남식 손해보험협회장을 포함한 금융협회장 7명은 전원 민간금융인 출신이다. 

금융협회장은 본래 관료 출신들이 주로 맡아왔지만 2014년 세월호 참사에 따른 ‘관피아’ 논란과 회장 인선이 맞물리면서 민간금융인들이 대거 선출됐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금은 세월이 지났고 문재인 정부가 집권한 지도 얼마 안 됐다”며 “금융협회가 업계 현안을 대변하는 만큼 대관능력이 뛰어난 관료출신을 선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정부의 임기 안에 초대형 투자금융(IB)회사 출범과 새 보험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 등 금융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굵직한 사안들이 잇달아 실행된다. 

문재인 정부 들어 다른 금융기관의 CEO 인선에서도 관료출신이 이전보다 자주 거명되고 있는 점도 금융협회장 인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한국거래소 이사장후보는 초반에 민간금융인의 선임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지만 결국 관료출신인 정지원 한국증권금융 사장이 추천됐다. 

현재 금융협회장 후보로 거명되는 관료 출신들도 대부분 김대중 노무현 정부 당시 금융 관련 부처에서 일했고 장차관급 이상인 경우도 많다.

이 때문에 금융협회장 자리가 자칫 ‘관피아’의 몫으로 다시 고정될 가능성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금융부처의 한 관계자는 “금융업종이 정권 교체의 영향에 상대적으로 민감해 협회장 인사에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관피아’ 관행이 부활할지는 회장 임기가 아직 1년 이상 남아있는 저축은행중앙회와 여신금융협회의 후속인사를 봐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