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집단 가운데 내부거래 비중은 SK그룹이, 내부거래 규모는 현대자동차그룹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1일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계열회사간 상품·용역거래 현황을 분석해 공개했다. 올해 5월 지정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 계열회사 1021개의 지난해 내부거래 현황을 분석한 것이다.
 
SK그룹 내부거래 비중 1위, 현대차그룹 내부거래 규모 최고

▲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공정위 분석결과 대기업집단별 내부거래 비중은 SK그룹이 23.3%로 가장 높았다. 포스코그룹(19.0%), 현대자동차그룹(17.8%)이 그 뒤를 따랐다.

내부거래 금액은 현대자동차그룹이 30조3천억 원으로 많았고 SK그룹(29조4천억 원), 삼성그룹(21조1천억 원) 순서였다.

삼성그룹 현대차그룹 SK그룹 LG그룹 롯데그룹 GS그룹 한화그룹 현대중공업그룹 신세계그룹 두산그룹 등 10대 그룹의 내부거래 금액은 전년 대비 6천억 원 늘었다. 내부거래 비중은 12.8%에서 12.9%로 0.1%포인트 증가했다.

공정위는 “10대 그룹 내부거래 증가는 계열사 신규 시설투자 증가, 사업구조변경, 10대 집단 구성 변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10대 그룹에서 내부거래 비중 7.0%인 한진그룹이 제외되고 11.4%인 신세계그룹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내부거래 비중은 시스템통합(SI)관리업종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SI업종의 내부거래 비중은 69.8%로 2위인 부동산업(56.1%)를 크게 앞섰다. 내부거래 금액은 자동차·트레일러 제조업(20조7천억 원)에서 가장 많았다.

비상장사와 총수일가 회사의 내부거래 비중이 높은 경향이 지속됐다. 상장사 내부거래 비중은 8.2%인데 비상장사는 22.3%로 14.1%포인트 높았다.

총수일가 지분율이 높을수록 내부거래 비중은 높았다. 특히 총수2세 지분율과 내부거래 비중의 비례관계가 뚜렷했다. 총수일가 지분 100%인 회사의 내부거래 비중은 17.3%였지만 총수 2세 지분 100%인 회사의 내부거래 비중은 66.0%였다.

최근 3년 동안 총수일가 지분율이 20% 이상으로 높은 회사의 내부거래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7.6%에서 2015년 9.0%, 2016년 9.4%로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사익편취규제 대상회사의 내부거래 금액은 줄어들었으나 비중은 2년 연속 증가했다. 사익편취규제 대상회사 96곳의 내부거래 비중은 14.9%였다.

공정위는 “사익편취규제 대상회사 내부거래 비중이 높고 총수2세 지분이 많을수록 내부거래 비중이 높아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며 “앞으로 부당내부거래와 사익편취행위에 엄정하게 법을 집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