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송영무 국방부 장관(가운데)과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왼쪽), 김은경 환경부 장관이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사드 임시 배치 관련 합동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송영무 국방부 장관,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김은경 환경부 장관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경북 성주에 사드 발사대 4기를 추가 배치한 것과 관련한 합동브리핑을 했다.
송 장관은 “사드 임시배치 조치는 고도화되고 있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조치의 일환으로 부득이하게 결정하여 추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제한적인 한미 연합 미사일 방어능력을 보완할 수 있는 대책마련이 불가피해 잔여발사대를 임시배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송 장관은 “앞으로 강력한 국방개혁을 통해 북한의 어떠한 도발과 위협에도 국민의 안위를 지킬 수 있는 독자적 방위력을 구비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부겸 장관도 “북한 핵실험 등 엄중한 상황에서 국가안보와 국민생명을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며 사드배치 과정에서 이를 저지하려는 이들 가운데 부상자가 발생한 데 유감을 나타냈다.
김 장관은 “지역주민들과 진정성있게 소통하면서 사드배치로 지역의 상처를 보듬겠다”며 “지역이 한층 더 발전할 수 있도록 각별한 관심과 정책적 노력을 적극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김은경 장관은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결과 사드 레이더의 전자파 발생에 따른 주민건강과 환경에 주는 영향이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이러한 결과에도 지역주민의 우려와 불안감은 여전히 남아있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전자파 공개검증을 실시해 건강피해 가능성을 한 점의 의혹도 없도록 규명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는 사드부지 전체에 대해 진행할 일반 환경영향평가도 엄정한 원칙과 절차를 적용해 사회적 논란 해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