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탈원전 탈석탄정책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강력하게 보이면서 SK가스와 SK건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SK가스와 SK건설은 국내에서 제일 큰 석탄화력발전소인 하이화력발전소를 짓고있는데 자칫 사업추진에 타격을 받을 수도 있다.
|
|
|
▲ 하이화력발전소 조감도. |
5일 업계에 따르면 하이화력발전소의 공정률이 석 달 만에 8%에서 22% 정도로 높아졌다.
하이화력발전소는 SK가스와 SK건설, 한국남동발전 등이 경남 고성군에 5조2천억 정도를 들여 짓고있는 국내 최대 민자발전소다. 하이화력발전소는 준공예정시점이 2021년 7월31일인데도 올해 2월 말 착공해 6월 말에 공정률이 20%를 훌쩍 넘어섰다.
문재인 정부가 공정률 10% 미만의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취소하겠다는 방침을 세우자 하이화력발전소가 이 기준에 걸리지 않기 위해 무리하게 공정률을 끌어올린 게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고성화력발전소 사천시민대책위원회는 “하이화력발전소 측은 공정률이 21%라고 주장하지만 지역주민들은 공사가 시작됐는지도 몰라 공정률 진위가 의문스럽다”며 하이화력발전소 건설을 백지화해달라고 시의회에 줄곧 요구하고 있다.
SK가스와 SK건설은 하이화력발전소의 공정률 논란이 가라앉지 않을 경우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SK가스와 SK건설은 하이화력발전소에 모두 29%를 출자하기로 했을 뿐 아니라 SK건설은 하이화력발전소 건설로 막대한 규모의 수주잔고를 확보했다.
SK건설은 하이화력발전소 건설의 90%를 시공하기로 했는데 올해 1분기를 기준으로 도급액이 3조1천억 원 남아있다. SK건설의 지난해 매출기준으로 약 5개월치 일감에 해당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하이화력발전소 공정률 논란의 진위를 가리기 위해 정밀조사를 진행할 경우 공사진척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최악의 경우 하이화력발전소 건설이 백지화하면 SK가스와 SK건설은 지금까지 투자한 수천억 원을 잃게될 뿐 아니라 SK건설은 3조 원의 수주잔고를 통째로 날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산업부는 현재 공정률이 낮은 석탄화력발전소를 LNG(액화천연가스)발전소로 전환하는 방안을 다각도로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이화력발전소가 LNG발전소 전환대상에 오르면 사업이 백지화되지는 않겠지만 SK가스와 SK건설 등은 여전히 적지 않은 타격을 받게 된다.
SK가스와 SK건설은 하이화력발전소에 지금까지 약 2천억 원 규모의 공사비를 쓴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런 공사비 일부를 날릴 수도 있다.
발전소 건설을 중단한 뒤 재설계해 산업부로부터 다시 인가를 받아야 한다는 점까지 고려하면 공사비와 운영비, 각종 관리비 등으로 손실규모가 수백억 원 이상 더 불어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으로 백운규 한양대 교수가 지명된 점도 하이화력발전소 건설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백 후보자는 신재생에너지 전문가로서 올해 4월 문재인 대선캠프에서 탈원전 탈석탄정책을 구상하는 데 참여했다. 백 후보자가 산업부의 수장에 오를 경우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취소정책에 힘이 더해지면서 하이화력발전소의 운명도 불투명해질 것으로 업계는 바라본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