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3D낸드의 수율개선과 원가절감에 성과를 내 올해 실적을 크게 늘릴 것으로 전망됐다. 최초로 애플과 글로벌 서버 고객사들에도 3D낸드 공급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8일 “SK하이닉스가 마침내 3분기부터 48단 3D낸드 양산을 본격화할 수 있게 됐다”며 “애플에 3D낸드 공급을 시작하며 출하량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 |
3D낸드의 생산비중이 적어 충분한 물량을 공급하지 못하는데다 수율 문제로 원가절감이 어려웠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올해 들어 3D낸드의 기술력이 빠르게 높아지고 하반기부터 신규 생산시설 가동도 앞두고 있어 고객사를 본격적으로 확대할 수 있게 됐다.
올해 하반기부터 양산을 앞둔 72단 3D낸드는 글로벌 서버고객사에 SSD형태로 공급될 것으로 예정됐다. SK하이닉스가 3D낸드를 서버용으로 공급하는 것은 처음이다.
황민성 삼성증권 연구원은 “서버용 낸드플래시는 일반적으로 모바일용보다 가격이 높아 SK하이닉스의 수익개선에 기여하는 폭이 클 것”이라며 “낸드플래시 기술발전 성과로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SK하이닉스의 전체 낸드플래시 출하량에서 3D낸드의 비중은 올해 말 50%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말 10%와 비교해 대폭 늘어나는 것이다.
3D낸드는 낸드플래시의 생산원가를 개선하고 성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SK하이닉스는 낸드플래시사업에서 지난해 소폭 영업손실을 냈는데 올해는 영업이익률이 24%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황 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48단 3D낸드 수율이 점점 개선되고 있고 72단 제품의 생산원가도 삼성전자의 64단 제품과 비슷한 수준까지 발전했다”고 분석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매출 28조5710억 원, 영업이익 12조134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66%, 영업이익은 270%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