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앙부처가 금요일 오후 4시에 퇴근하는 한국판 ‘프리미엄 프라이데이’를 4월부터 실시한다.
근무시간을 줄이고 쇼핑과 외식을 유도해 소비를 촉진하겠다는 취지인데 현실을 무시한 탁상행정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
|
|
▲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총리. |
3일 정부부처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인사혁신처, 법제처,기상청 등은 4월부터 매달 하루를 평소보다 일찍 퇴근하는 ‘가족과 함께하는 날’로 지정했다.
기재부는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에 전 직원이, 인사처 등은 매주 금요일마다 부서나 그룹별로 직원들이 오후 4시에 퇴근하기로 했다. 인사처 관계자는 “시행 시기는 각 부처마다 다르겠지만 가능한 한 빨리 전 부처에서 시행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앞으로 민간기업의 조기퇴근도 장려한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조기퇴근은 2월 23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총리 주재로 열린 내수 활성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한 ‘소비.민생 개선대책’의 후속대책이다.
발표 1개월여 만에 공직사회부터 전격시행하는 것인데 일본이 2월24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프리미엄 프라이데이’를 벤치마킹했다.
당시 정부는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매일 30분씩 일을 더 하고 한달 중 하루 금요일에는 오후 4시에 퇴근하는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조기퇴근으로 ‘일하는 문화 개선’과 ‘소비촉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취지가 좋다고 하지만 민간기업의 경우 자율적으로 시행하기로 해 조기퇴근 도입 여부조차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공무원과 민간직장인 사이의 형평성 시비가 불거질 수도 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월 대책 발표 이후 현재까지 금요일 조기퇴근을 도입한 민간기업은 한 곳도 없다. 일각에서 ‘오후 6시 칼퇴근도 못하는데 조기퇴근은 상상도 못한다’‘공무원 좋은 일만 시킨다’는 불만도 나온다.
공직사회 내부에서도 실효성이 있을지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한 중앙부처 공무원은 “금요일에 전 직원이 일찍 퇴근하면 국민 생활과 직결된 서비스는 마비가 될 우려가 있다”며 “우리는 주로 공무원을 상대하거나 규모가 작은 부처가 아니어서 전 직원이 쉰다는 건 상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조성한 중앙대 행정학과 교수는 언론인터뷰에서 “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떨어진 공무원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취지로 보이는데 내수활성화 효과는 거의 없을 것”이라며 “금요일 조기퇴근이 전면 시행되면 민간기업의 애로사항은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교도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우리나라보다 먼저 프리미엄 프라이데이를 도입한 일본의 경우 조기퇴근하는 경우는 3%에 불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찍 귀가하지 못한 이유(복수응답 가능)로는 ‘일이 끝나지 않아서’가 88.4%로 가장 많았고 ‘나중에 업무에 악영향을 줄 것 같아서’(18.1%), ‘주변 동료의 시선이 신경쓰여서’(9.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재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