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가 새 프리미엄 스마트폰 ‘P10’을 앞세워 애플과 삼성전자를 추격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12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화웨이는 27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열리는 글로벌 모바일박람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7’에서 프리미엄 스마트폰 P10 시리즈를 공개한다.
▲ 런정페이 화웨이 회장. |
화웨이가 자체적으로 만든 프로세서를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자신있게 적용하는 배경에는 런정페이 회장의 기술개발 투자가 자리잡고 있다.
런 회장은 화웨이의 자체규정인 ‘화웨이기본법’에 연간 매출의 10%를 연구개발(R&D)에 투자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그가 최근 10년 동안 화웨이의 연구개발에 집행한 금액만 370억 달러에 이른다. 전체 직원 가운데 40% 이상을 연구개발인력으로 채용하고 있다.
화웨이는 이런 연구개발에 힘입어 세계적 통신장비회사로 성장했는데 스마트폰사업에도 같은 전략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셈이다.
런 회장은 화웨이와 라이카의 협업도 적극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그는 지난해에 안드레아스 카우프만 라이카 이사회 의장을 만나 두 회사가 광학엔지니어링과 가상현실(VR) 등을 함께 연구하는 ‘막스 베렉 혁신실험실’을 세우기로 했다. 화웨이가 라이카와 장기 기술동반자 협력을 체결하고 P9에 라이카의 듀얼렌즈를 탑재한 데 이어 성과를 냈다.
런 회장은 당시 “미래사회의 정보흐름 가운데 90% 이상을 이미지와 영상이 차지할 것”이라며 “라이카와 협력해 스마트폰의 이미지와 영상 품질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화웨이는 프리미엄 스마트폰시장에서 애플과 삼성전자에 대항할 만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자신한다.
리처드 유 화웨이 소비자사업그룹 대표가 올해 초 글로벌 가전전시회 ‘CES 2017’에서 대화면 스마트폰 ‘메이트9’를 미국에 출시할 계획을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
유 대표는 당시 “2년 안에 애플을 추월하고 중장기적으로 삼성전자도 넘어서 세계 1위 스마트폰회사로 뛰어오르겠다”고 밝혔다. 유 대표는 1993년부터 화웨이에서 일한 런 회장의 측근인사다.
시장조사회사 IDC에 따르면 화웨이는 지난해 스마트폰 판매량 기준으로 시장점유율 9.5%를 기록해 삼성전자(21.2%)와 애플(14.6%)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판매량을 2015년과 비교한 성장률을 살펴보면 27.9%로 삼성전자(-4%)와 애플(-7%)을 무섭게 뒤쫓고 있다.
그러나 시장조사회사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화웨이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위주인 북미시장에서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애플과 삼성전자는 물론 LG전자 ZTE 알카텔에 밀려 점유율 5위권 안에 들어가지 못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