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3월 경상수지가 91억 달러 규모 흑자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25년 3월 국제수지(잠정)’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경상수지는 91억4천만 달러 흑자로 나타났다. 경상수지는 국가 사이 상품, 서비스, 수출입과 함께 자본, 노동 등 모든 경제적 거래를 합산한 통계를 말한다.
한국 경상수지는 2024년 4월 뒤 11개월째 흑자기조를 지속하고 있다.
3월 경상수지를 세부항목별로 보면 수출과 수입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인 상품수지는 84억9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수출이 593억1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증가했다. 통관기준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정보통신기기(21.0%) 승용차(2.0%) 수출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반도체(11.6%) 수출도 한 달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반면 석유제품(-28.2%) 화공품(-5.8%) 철강제품(-4.9%) 자동차부품(-2.7%) 등 품목 수출은 2024년 3월보다 줄었다.
지역별 수출현황을 보면 중동(13.2%) 동남아(11.0%) 유럽연합(9.8%) 미국(2.3%) 일본(1.9%) 등이 증가했다. 중남미(-17.1%) 중국(-4.2%)으로 수출은 감소했다.
3월 수입은 532억9천만 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3% 늘어났다.
품목별로는 반도체제조장비(85.1%) 반도체(10.6%) 등 자본재 수입이 14.1%, 승용차(8.8%) 등 소비재 수입이 7.1% 증가했다.
반면 석탄(-34.6%) 석유제품(-15.1%) 원유(-9.0%) 등 원자재 수입은 7.5% 줄었다.
서비스수지는 22억1천만 달러 적자를 냈다. 다만 적자 규모는 2024년 3월(-27억4천만 달러)보다 축소됐다.
본원소득수지는 배당소득 등을 중심으로 32억3천만 달러 흑자를 보였다. 본원소득수지는 대외금융자산 및 부채와 관련된 배당, 이자 등의 투자소득과 근로소득인 급료 및 임금을 계상한 값이다.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 대가없이 이뤄진 무상원조, 증여성 송금 등 이전거래내역을 나타내는 이전소득수지는 3억7천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박혜린 기자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25년 3월 국제수지(잠정)’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경상수지는 91억4천만 달러 흑자로 나타났다. 경상수지는 국가 사이 상품, 서비스, 수출입과 함께 자본, 노동 등 모든 경제적 거래를 합산한 통계를 말한다.

▲ 2025년 3월 경상수지가 91억4천만 달러 흑자로 나타났다. 사진은 부산항 모습. <연합뉴스>
한국 경상수지는 2024년 4월 뒤 11개월째 흑자기조를 지속하고 있다.
3월 경상수지를 세부항목별로 보면 수출과 수입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인 상품수지는 84억9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수출이 593억1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증가했다. 통관기준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정보통신기기(21.0%) 승용차(2.0%) 수출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반도체(11.6%) 수출도 한 달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반면 석유제품(-28.2%) 화공품(-5.8%) 철강제품(-4.9%) 자동차부품(-2.7%) 등 품목 수출은 2024년 3월보다 줄었다.
지역별 수출현황을 보면 중동(13.2%) 동남아(11.0%) 유럽연합(9.8%) 미국(2.3%) 일본(1.9%) 등이 증가했다. 중남미(-17.1%) 중국(-4.2%)으로 수출은 감소했다.
3월 수입은 532억9천만 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3% 늘어났다.
품목별로는 반도체제조장비(85.1%) 반도체(10.6%) 등 자본재 수입이 14.1%, 승용차(8.8%) 등 소비재 수입이 7.1% 증가했다.
반면 석탄(-34.6%) 석유제품(-15.1%) 원유(-9.0%) 등 원자재 수입은 7.5% 줄었다.
서비스수지는 22억1천만 달러 적자를 냈다. 다만 적자 규모는 2024년 3월(-27억4천만 달러)보다 축소됐다.
본원소득수지는 배당소득 등을 중심으로 32억3천만 달러 흑자를 보였다. 본원소득수지는 대외금융자산 및 부채와 관련된 배당, 이자 등의 투자소득과 근로소득인 급료 및 임금을 계상한 값이다.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 대가없이 이뤄진 무상원조, 증여성 송금 등 이전거래내역을 나타내는 이전소득수지는 3억7천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