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채권단이 대우조선해양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해양에 자금을 추가로 투입하기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간접지원을 통해 업황이 회복될 때까지 버틸 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채권단이 잠수함이나 전수함 등의 발주를 국방부에 요청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
|
|
▲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
대우조선해양의 자금난이 수주가뭄으로 더욱 심각해진 만큼 수주를 도와 대우조선해양의 유동성 확보를 돕겠다는 것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잠수함 건조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국내 조선사 가운데 가장 많은 잠수함 건조 실적을 쌓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들어 13억 달러를 수주하는 데 그치면서 유동성에 비상이 걸렸다. 대우조선해양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자구안은 올해 62억 달러를 수주한다는 가정으로 짜인 것이다. 대우조선해양은 내년 4월부터 11월까지 돌아오는 9400억 원 규모의 회사채도 막아야 한다.
금융당국은 대우조선해양이 잘못될 경우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대규모 부실을 안게되는 점을 감안해 대우조선해양을 살려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최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대우조선해양은 정상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국민경제에 미칠 파장과 채권은행의 채권회수 가능성 등을 감안할 때 자구계획을 중심으로 한 경영정상화가 필요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수주가 올해와 내년에 바닥을 치고 2018년부터 점차 회복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점도 채권단과 금융당국이 간접지원에 나서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영국의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은 최근 펴낸 ‘신조선시장의 장기수요 전망’ 보고서에서 선박 발주물량이 2016년 586척, 2017년 790척으로 바닥을 찍은 뒤 2018년에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클락슨은 최상의 경우 2018년 발주물량이 과거 20년 동안의 연평균 발주물량인 2220척을 뛰어넘을 가능성도 제기하며 2020년까지 업황이 계속해서 완만한 회복세를 띨 것으로 예상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채권단과 금융당국은 업황이 회복되기만 하면 대우조선해양의 경쟁력을 통해 자력생존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며 “2018년부터 업황이 나아질 것이라는 신호가 곳곳에서 보이는 만큼 일단 내년까지는 버텨보자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
|
|
▲ 임종룡 금융위원장. |
다만 채권단과 금융당국이 대우조선해양을 지원하는 명분을 확보하기 위해 대우조선해양에 고강도 자구노력을 주문할 것으로 보인다.
부실기업에 수조 원대의 자금을 지원하는 데 대해 국민적 여론이 좋지 않은 데다 ‘밑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지적도 계속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임종룡 위원장도 “어떤 기업도 스스로 살겠다는 의지가 없으면 정부가 나서도 살리기 어렵다”며 “이해관계인들의 손실 분담과 살리겠다는 의지, 자구안에 대한 적극적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최근 구조조정 강도를 눈에 띄게 높이고 있다.
올해 안에 희망퇴직과 분사를 통해 3천 명의 인력을 내보내기로 했으며 추가 설비감축도 검토하고 있다. 2017년 상반기 안에 직원들의 업무능력과 성과를 등급별로 평가해 임금에 차등을 두는 성과연봉제를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