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경기불안과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여파로 은행대출이나 회사채, 주식발행 등을 통한 자금조달을 줄이고 있다.
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2분기 중 자금순환'에 따르면 8월 기업들의 은행대출 증가세는 둔화됐고 회사채와 주식, 기업어음(CP) 등 직접금융을 통한 자금조달도 감소세로 돌아섰다.
|
|
|
▲ 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최근 기업들의 은행대출 증가세는 둔화됐고 회사채와 주식, 기업어음(CP) 등을 통한 직접금융 자금조달도 감소세로 돌아섰다. |
대기업의 은행대출 잔액은 8월 기준으로 164조3047억 원으로 나타났다. 4월과 비교하면 1천억 원 줄었다.
중소기업의 은행대출 잔액도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월별로 중소기업의 은행대출 잔액 증가폭을 살펴보면 4월 4조7천억 원, 5월 3조7천억 원, 6월 1조7천억 원이다. 7월에 일시적으로 5조5천억 원으로 늘었지만 8월 1조9천억 원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기업이 금융시장에서 증권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직접금융도 감소세로 돌아섰다.
기업들은 8월 직접금융을 통해 1조2천억 원가량을 순상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상환이란 증권을 발행해 조달한 자금보다 상환한 자금이 많다는 뜻이다.
종류별로 살펴보면 기업어음은 3천억 원어치가, 주식발행으로 7천억 원치가 순발행됐다. 반면 회사채는 같은 기간 2조2천억 원어치가 순상환됐다.
이런 현상은 기업들이 경기에 대한 불안감으로 투자를 줄이는 데다 기업 구조조정에 영향을 받아 재무구조개선 등을 추진하면서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하지 않는 것으로 풀이됐다.
이처럼 기업의 투자와 생산이 위축되면 한국은행이 추진하는 통화완화정책의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 등을 통해 시중에 푼 유동성이 제조업 등으로 흘러가지 않고 부동산과 건설부문에만 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금융통화위원회 관계자는 “가계부채와 기업대출이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는 통화정책의 파급경로가 왜곡돼 정책효과가 제약되고 잠재적 부작용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