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5월 23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전남 고흥 발사대에서 기립 후 고정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비즈니스포스트] 경남 사천에 한국 우주개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한국판 항공우주국(NASA) '우주항공청' 설립이 유력해졌다.
선진국보다 뒤늦게 출발하는 만큼 첨단엔진 기술 개발을 핵심과제로 삼고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다.
우주항공청 설치를 위한 법안이 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위를 통과했다. 제정안이 9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면 이르면 5월말쯤에 경남 사천에 설립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유럽의 주요 국가들만이 아니라 아시아 국가들도 최근 우주항공 기술에 힘을 쏟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바로 일본과 인도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만든 달 착륙선 ‘슬림’이 오는 19일 월면에 내릴 계획이며, 일본 민간 기업 아이스페이스는 지난해 실패를 딛고 올해 4분기에 달 착륙선 '하쿠토-R 미션 2'를 발사할 예정이다.
인도는 지난해 세계 최초로 달 남극에 착륙한 데 이어 올해 초 태양관측위성을 궤도에 올리는 데도 성공하면서 우주 강국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우주항공청을 개청하고 우주 개발에 속도를 낸다고 하지만 아직 역부족이다. 실제 선진국 대비 첨단엔진 국산화율은 40% 수준, 우주 발사체 기술은 60%에 불과한 실정이다.
우주항공 기술은 일반 국민과 멀리 떨어져 있는 이야기가 아니다.
위성·항공을 통해 확보한 정밀한 위치, 시각적 정보로부터 방재·환경·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보 활용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큰 문제는 정치외교적 문제나 기업들 사이의 이해관계로 일부 선진 국가가 독점하고 있는 우주항공 기술 공급을 중단하는 사태가 충분히 벌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럴 경우 우리나라의 국가수준도 도태될 수밖에 없다.
특히 우주항공 분야 첨단엔진 기술이 시급하다.
첨단엔진 기술을 보유하지 못하면 안게 될 경제적 손실이 상당해서다.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세계 우주산업이 2020년 약 507조 원 규모에서 2030년 약 776조 원, 2040년에는 약 1446조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우리나라의 글로벌 우주산업 시장점유율은 현재 약 1%에 불과하다.
첨단엔진 기술은 유·무인기 엔진, 우주산업의 로켓 엔진 등의 근간이 되는 기술이다. 정밀기계 산업의 정점인 첨단엔진은 일자리를 양산하는 데도 큰 몫을 한다.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이 발전을 거듭하면 할수록 사람의 일자리를 빼앗는 분야와는 차원이 다르다.
산업용 발전기, 압축기 기술에 첨단엔진 기술을 적용하고 확장할 수 있으며 관련 공급망 구축을 통해 초정밀 기계, 가공 기술과 함께 원자재, 소재 산업으로 파급이 이뤄지면 일자리뿐 아니라 전후방 산업에서 동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첨단엔진의 국산화가 이뤄지면 우주 발사체와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고 우주개발 선진국과 같이 인간·로봇·위성·탐사선 등을 우주로 보낼 수 있는 생태계가 마련된다. 대한민국이 우주 경제 글로벌 강국으로 우뚝 설 수 있는 것이다.
이번 정부는 우주항공청 개청을 국정과제로 삼고 우주 경쟁 시대를 맞아 대대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우주항공청 개청을 시작으로 우주 시대로 가는 골든타임을 더 이상 늦춰서 곤란하다. 특히 가장 시급한 과제인 첨단엔진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최영희 유통바이오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