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상장법인 10곳 가운데 4곳이 지난해 금융감독원에 사업보고서에서 재무사항을 두고 미흡 지적을 받았다.

13일 금감원이 내놓은 2022년 사업보고서 점검 결과에 따르면 재무사항 미흡비율은 39.8%(1163곳)로 전년(36.4%, 990곳)보다 3.4%포인트 올랐다.
 
상장법인 10곳 중 4곳 재무사항 미흡, 금감원 20일 공시설명회 개최

▲ 금감원에 따르면 상장법인 10곳 가운데 4곳은 사업보고서에서 재무사항 미흡 지적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흡비율은 점검항목이 늘어 함께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금감원은 “점검항목이 11개에서 14개로 늘어나며 미흡비율도 상승했다”며 “새 항목을 제외한 미흡회사는 모두 981곳(33.6%)으로 전년보다 2.8%포인트 하락한 수준이다”고 설명했다.

주요 미흡항목은 회계감사인 명칭·감사의견·강조사항·핵심감사사항이 14.1%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는 회계감사인의 변경(9.7%)과 재고자산 현황(7.6%) 순으로 나타났다.

시장별로는 코넥스가 88곳 67.7%로 가장 미흡비중이 컸고 코스닥(685곳 43.3%), 비상장(195사 42.4%), 유가증권(195곳 26.1%) 등이 뒤를 이었다.

금감원은 “투자자는 재무사항과 관련해 감사의견 변형여부나 계속기업 불확실성 포함 여부, 손익구조 변동 등 여러 요소를 살펴야 한다”며 “이번 점검 결과로 2022년 사업보고서 정정공시가 늘 것으로 예상돼 관련 공시 서류를 확인해 정정사항 등을 살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비재무 사항은 점검 대상 120곳 가운데 양호 이상은 모두 25곳(21%)인 반면 미흡 이하는 모두 43사(36%)로 전체적 기재수준이 미흡했다.

금감원은 20일에는 사업보고서 기재 충실화 등 공시역량 제고를 지원하기 위한 공시설명회도 연다.

금감원은 기업의 사업보고서 부실기재를 예방하고 충실한 공시를 유도하기 위해 매년 미리 예고한 뒤 점검을 실시해 오고 있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