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롯데그룹의 비자금 조성의혹에 대한 수사를 확대하면서 롯데그룹 금융계열사에도 태풍권에 들어가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롯데카드와 롯데캐피탈 등 롯데그룹의 주요 금융계열사 경영진이 롯데그룹의 비자금 조성의혹과 관련해 검찰의 수사선상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 |
||
▲ 채정병 롯데카드 사장. |
채정병 롯데카드 사장은 16일 서울중앙지검 롯데그룹 수사팀에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돼 조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채 사장은 롯데그룹 정책본부에 2006~2014년 동안 몸담으면서 부사장과 사장을 역임했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채 사장이 검찰의 소환조사를 받았는지 현재 확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고바야시 마사모토 롯데캐피탈 대표는 최근 검찰에서 소환조사를 검토하고 있던 와중에 일본으로 출국했다. 고바야시 대표는 일본롯데홀딩스 최고재무책임자(CFO)를 겸임하는 등 롯데그룹의 한국과 일본 간 자금거래의 열쇠를 쥔 것으로 평가된다.
김현수 롯데손해보험 대표는 정책본부 출신은 아니지만 2006년 롯데쇼핑 재무부문장으로 임명돼 2014년까지 근무했다. 롯데쇼핑은 조세피난처인 해외에 페이퍼컴퍼니 자회사를 세운 뒤 신 회장 일가의 비자금을 세탁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등 전자금융사업 계열사인 롯데피에스넷은 롯데그룹의 비자금 조성방식으로 지목된 '통행세' 논란과 연루돼 최근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았다. 통행세는 계열사 간 거래에서 불필요한 경로를 추가해 오너나 일부 계열사에 부당수익을 챙겨주는 수법을 뜻한다.
검찰에 따르면 롯데피에스넷은 2009년 세븐일레븐 편의점에 ATM을 납품할 때 제조사에게 기계를 바로 사지 않고 롯데알미늄을 중간에 끼워 간접구매하는 방식으로 41억5천만 원 규모의 부당이득을 챙겨준 것으로 알려졌다.
![]() |
||
▲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
신 회장은 1997년 부회장으로 취임한 뒤 2002년 동양카드(현 롯데카드), 2008년 대한화재해상보험(현 롯데손해보험) 인수 등을 주도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검찰은 2008년 삼성그룹의 비자금 의혹을 수사할 때도 삼성화재를 압수수색하는 등 금융계열사를 집중 조사했는데 롯데그룹도 마찬가지”라며 “금융이 규제산업인 만큼 검찰 수사가 본격화될수록 직접적인 영업 타격을 입을 가능성도 크다”고 말했다.
롯데그룹의 금융계열사는 롯데카드·롯데캐피탈·롯데손해보험·롯데피에스넷·롯데오토리스·롯데멤버스·마이비·부산하나로카드·이비카드·경기스마트카드·인천스마트카드·장교프로젝트금융 등 12곳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