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가 45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령별 다중채무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6월 말 기준으로 다중채무자 수는 450만9천 명으로 3월 말보다 1만1천 명 늘었다.
▲ 13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령별 다중채무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6월 말 기준으로 다중채무자 수는 450만9천 명으로 파악됐다. 사진은 서울 한 시중은행 대출창구 모습. <연합뉴스> |
같은 기간 금융권 전제 채무자 수는 1992만3천 명에서 1990만 명으로 2만3천 명 줄었는데 다중채무자 수는 오히려 늘어난 것이다.
20대 청년층과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다중채무자가 빠르게 증가하며 전체 다중채무자의 증가세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6월 말 기준 20대 다중채무자 수는 38만7천 명으로 2021년 말과 비교해 1만8천 명 늘었다.
60대 이상 다중채무자 수는 2021년 말 54만9천 명에서 6월 말 55만8천 명으로 9천 명 증가했다.
전체 채무자에서 다중채무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6월 말 기준 22.7%로 집계됐다. 금융회사에서 대출을 받은 5명 가운데 1명 이상이 다중채무자라는 의미다.
다중채무자가 지고 있는 빚의 규모는 6월 말 기준 598조3345억 원으로 조사됐다. 1인당 평균 채무액은 1억3269만 원으로 파악된다.
다중채무자는 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사람이다. 금리 상승기에는 상환 부담이 크게 늘어나 연체율 상승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우리 경제에서 ‘약한 고리’로 지목되기도 한다.
진선미 의원은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이 겹치며 다중채무자를 중심으로 대출이 부실화할 우려가 있다”며 “우리 경제 전반의 위기로 전이될 수 있는 만큼 청년층과 고령층을 비롯한 취약차주의 채무조정, 대환대출 등을 고려해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