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유플러스가 2050년까지 전력 사용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4일 ESG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하는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LG유플러스와 같은 통신사는 직접적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지 않지만 많은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최근에는 5G 상용화와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의 증설로 간접 배출량이 늘고 있다.
이에 LG유플러스는 2050년까지 전력 사용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감축 로드맵을 수립했다.
우선 국제 협의체인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 수준으로 감축하기 위해 2030년까지 약 53%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중간 목표를 제시했다.
최종적으로 2050년까지 온실가스 예상 배출량의 25%를 자체 감축하고, 나머지 75%는 재생에너지를 사용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LG유플러스는 광동축혼합망(HFC)을 광가입자망(FTTH)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진행하다. 동절기 외기로 에어컨을 대체하는 외기 냉방장치 설치 확대 등 인터넷데이터센터 냉방 효율화도 추진한다.
LG유플러스는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구체화하고 전사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올해 안에 ‘한국형 RE100(K-RE100)’에 가입하기로 했다.
K-RE100은 신재생 공급인증서(REC) 구매, 제3자 전력구매계약,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지분투자, 자가발전 등으로 전력 사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줄이는 캠페인으로 현재 국내 64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이종민 LG유플러스 ESG추진팀장은 "네트워크 장비 및 냉방 효율화 등 탄소중립 이행 방식을 구체화해 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ESG) 개선 경영을 가속하겠다"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
LG유플러스는 지난 24일 ESG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하는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 LG유플러스 직원들이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상징하는 푯말을 들어보이고 있다. < LG유플러스 >
LG유플러스와 같은 통신사는 직접적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지 않지만 많은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최근에는 5G 상용화와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의 증설로 간접 배출량이 늘고 있다.
이에 LG유플러스는 2050년까지 전력 사용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감축 로드맵을 수립했다.
우선 국제 협의체인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 수준으로 감축하기 위해 2030년까지 약 53%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중간 목표를 제시했다.
최종적으로 2050년까지 온실가스 예상 배출량의 25%를 자체 감축하고, 나머지 75%는 재생에너지를 사용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LG유플러스는 광동축혼합망(HFC)을 광가입자망(FTTH)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진행하다. 동절기 외기로 에어컨을 대체하는 외기 냉방장치 설치 확대 등 인터넷데이터센터 냉방 효율화도 추진한다.
LG유플러스는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구체화하고 전사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올해 안에 ‘한국형 RE100(K-RE100)’에 가입하기로 했다.
K-RE100은 신재생 공급인증서(REC) 구매, 제3자 전력구매계약,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지분투자, 자가발전 등으로 전력 사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줄이는 캠페인으로 현재 국내 64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이종민 LG유플러스 ESG추진팀장은 "네트워크 장비 및 냉방 효율화 등 탄소중립 이행 방식을 구체화해 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ESG) 개선 경영을 가속하겠다"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