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가계대출 공급량이 2021년보다 10조 원 이상 줄어들어 대출 받기가 더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됐다.
2일 금융위원회 등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1628조 원대로 추산된다. 2020년 말 잔액보다 110조원(7.2%) 정도 증가했다.
▲ 행인들이 한 은행 앞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
이에 따라 2021년 가계대출 증가율은 2020년보다 약 0.8%포인트 낮아졌을 것으로 보인다. 2020년에는 가계대출이 112조3천억 원으로 2019년보다 8.0% 증가했다.
지난해 금융위 등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증가율을 5~6%대로 관리하려 했다. 하지만 전세대출을 총량 관리에서 제외하고 집단대출을 계속 공급하는 등 실수요자를 우선한 대책을 시행하면서 증가율이 7%를 넘겼다.
이와 같은 가계대출 잔액과 금융당국의 2022년 가계대출 총량 증가율 목표치(4~5%대)를 고려하면 올해 가계대출 공급량은 65조~97조 원 선이다. 이는 2021년 가계대출 공급량보다 10조 원 이상 줄어드는 것이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2022년 신년사에서 “총량 관리에 기반하되, 시스템 관리를 강화하면서 가계부채 증가세를 4~5%대로 정상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은행권도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금융당국의 방침에 맞춰 운영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당국은 올해 대출 여력이 고갈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올해부터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DSR이란 개인이 받은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로 DSR 규제가 강화되면 개인의 대출한도가 줄어드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올해 1월부터 개인별 대출액이 2억 원을 초과하면 연간 원리금 합계가 연소득의 40%를 넘을 수 없다. 7월부터는 총대출액 1억 원 초과자로 규제가 확대된다.
다만 전세대출은 차주별 DSR 산출에 반영되지 않는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