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정권이 5년 더 연장돼 '정권교체 10년 주기설'의 명맥을 이을지, 보수정당이 5년 만에 다시 정권을 탈환할지 조만간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일 정치권의 분석을 종합하면 이재명 후보와 윤석열 후보가 1월에 지지율을 얼마만큼 끌어올리느냐에 따라 대선 희비가 엇갈릴 수 있다는 시선이 나온다.
3월9일 선거일까지는 아직 두 달여 남아있지만 정치권 일각에서는 설 연휴 즈음에 선거 판세가 굳어질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공식 선거운동기간은 2월15일부터지만 상당수의 유권자는 이미 그 전에 어느 후보에게 표를 줄지 마음을 정한다는 것이다.
역대 대선을 살펴보면 공식 선거운동을 시작하기 전 마지막 여론조사 결과가 실제 투표에서 뒤집힌 적이 한 번도 없다. 설 연휴 이후 공식 선거운동을 시작하는 2월15일까지 기간이 길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설 밥상머리 민심이 곧 대선 판도를 엿볼 수 있는 잣대인 셈이다.
특히 이번 대선은 예년과 달리 3월에 치러진다. 대선이 12월에 치러지던 때 추석 민심 동향보다 이번 대선의 설 민심 동향은 어느 때보다 의미가 크다.
여론조사 흐름을 살펴보면 이재명 후보와 윤석열 후보는 박빙싸움을 이어가고 있다. 여론조사에 따라 지지율 40%를 넘기는 결과도 있지만 콘크리트 지지층이라 불리는 30%를 제외하고는 부동층을 크게 끌어들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가 대체로 많다.
이재명 후보로선 여론조사에서 윤석열 후보를 앞서는 결과가 늘어나는 추세인 만큼 1월 중순까지 확실한 골든크로스를 만들어내고 설 연휴로 넘어가면 대선승리를 향한 기대감을 높일 수 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해 12월30일 내놓은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이 후보가 39%, 윤 후보가 28%로 집계돼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밖인 11%포인트 차이가 나기도 했다.
이 후보는 반성과 통합 및 추진력을 강조하는 선거전략 기조를 마무리하고 취약 지지층에 초점을 맞추는 데 힘을 싣고 있다.
이 후보가 지지세를 끌어와야 하는 2030세대와 여성, 중도층을 겨냥해 대선 캐치프레이즈를 부드럽고 감성적 문구로 교체한 데에서 잘 드러난다. 이 후보는 기존 선전문구 '대한민국 대전환'과 '이재명은 합니다'를 1월부터 '앞으로 제대로'와 '나를 위해 이재명'으로 변경해 사용한다.
다만 정권교체 여론이 완전히 사그러들지 않은 점은 부담으로 남아있다.
한국갤럽이 지난해 12월29일 발표한 여론조사(서울신문 의뢰) 결과를 보면 '정권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정권교체론이 52.3%로 '정권 유지를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정권유지론 37.6%보다 높았다.
선거분석가들은 정권교체론이 55%를 넘기고 정권유지론이 35%에 미치지 못하면 대선에서 야당이 승리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분석한다. 이 후보가 섣불리 마음을 놓기 어려운 이유다.
민주당이 정권심판론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면 국민의힘은 정권심판론을 발판삼아 현 정부와 차별화되는 점을 내세워야 한다.
이를 위해 윤 후보는 정책행보에 무게를 둘 것으로 알려졌다.
윤 후보는 지난해 연말 허위경력 의혹과 관련해 아내인 김건희 코바나컨텐츠 대표가 사과하고 선대위 차원에서도 해명자료 내는 등 리스크를 일단 털어냈다. 정책 중심으로 선거전략을 전환해야 하는 타이밍이다.
이에 따라 윤 후보는 1일 '공약 플랫폼'을 제시했다. 유권자들이 윤 후보의 공약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온라인 창구다. 새해를 맞아 본격적으로 정책 중심의 선거운동을 하겠다는 의지를 내보인 셈이다.
다만 이준석 대표와 갈등이 장기화하고 있는 점은 풀어야할 과제다. 윤 후보의 지지율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데에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윤 후보가 선대위 내홍을 수습하지 못하고 있는 점이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 대표가 선대위에 복귀할 계기가 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이 대표와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의 만남도 빈손으로 끝났다.
이 대표는 지난해 12월31일 김 위원장과 오찬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특기할 만한 입장 변화는 없고 김 위원장과 상황 공유 정도 했다"며 윤 후보와 만날 생각은 없냐는 질문에도 "없다"고 짧게 말했다.
기사에 포함된 여론조사와 관련해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