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실질 기준금리가 마이너스(-) 상태를 유지해 중립금리보다 낮고 광의통화량(M2)지표가 두 자릿수 수준을 유지하는 등 유동성이 여전히 풍부하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이 총재는 “지난 8월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추가 인상을 예고한 뒤에도 국내경제가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고 민간소비도 금리인상보다 정부의 방역 전환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빠르게 반등하는 상황이 이를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2022년 1분기 경제상황에 달려 있겠지만 1분기 기준금리인상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통화정책방향문에서 ‘점진적’이라는 문구를 뺀 가장 주된 이유가 금리는 연속해서 올리지 않는다는 도식화는 옳지 않다고 봤기 때문”이라며 “경제여건이 허락한다면 원론적으로 생각해봐도 1분기 기준금리 인상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추가 인상시기는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다”며 “불확실성이 여전히 있기 때문에 금통위 회의 때마다 입수되는 경제지표와 금융안정 상황을 종합적으로 보면서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2022년 3월9일 대통령선거일을 앞두고 추가 금리인상은 어렵지 않겠느냐는 관측과 관련해서 “금통위원들은 기본적으로 금융·경제상황을 보고 판단한다”며 “정치일정이나 총재의 임기(2022년 3월 말)와 결부하는 말이 있지만 정치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통화정책 정상화가 최근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불균형 문제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봤다.
이 총재는 “가계대출의 큰 폭 증가, 주택 가격 상승, 경제주체들의 위험선호, 특히 과다한 차입을 통한 자산투자 등 금융불균형 현상은 오랫동안 누적돼 왔고 감독당국은 거시건전성정책을 강화해왔다”며 “그에 따른 영향이 일부 나타나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도 거시건전성정책은 일관성 있게 추진될 필요가 있다”며 “통화정책이 경제상황 개선에 맞춰 정상화하면 과도한 차입에 의한 수익 추구가 줄어드는 등 금융불균형 완화효과가 뚜렷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