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청와대에서 열린 여야 정당 대표 초정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과 미국 정상회담의 성과를 살릴 수 있도록 국회의 초당적 협력을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26일 청와대에서 열린 여야 정당 대표 초정 간담회에서 “한미정상회담은 내용 면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가 있었다”며 “국회의 초당적 협력을 기대하고 회담의 성과를 잘 살려 나갈 수 있도록 정치권이 지혜를 모아 달라"고 말했다.
그는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양국 의회 차원의 협력을 제안했다”며 “정부는 한미정상회담의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한미정상 회담을 통해 대한민국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우선 한미동맹이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재확인하는 뜻깊은 기회였다”며 “달라진 대한민국의 위상과 높아진 우리의 책임과 역할을 실감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대한민국 국민들이 더할나위 없는 대접을 받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미동맹이 더 높은 수준에 올랐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안보와 평화 협력을 강화하면서 경제와 기술, 백신, 기후변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협력의 폭과 깊이가 크게 확대됐다”며 “한미동맹이 그야말로 포괄적 동맹으로 발전한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진전시킬 수 있는 확고한 공감대가 마련됐다”며 “공동성명에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을 공동의 목표로 명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싱가포르 선언과 판문점 선언을 명기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의 호응도 기대했다.
문 대통령은 “미국이 대북특별대표를 임명한 것은 북한에 대화 재개를 요청한 것과 같다”며 “북한도 이에 호응해주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이 진행 중이던 21일 공석이던 대북특별대표에 한국계인 성 김 전 주한미국대사를 임명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2008년 7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미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를 지냈다. 이어 2015년 10월까지 주한미국대사를 역임한 뒤 2016년 11월까지 대북정책특별대표를 맡다가 필리핀 대사로 자리를 옮겼다. 미국의 대북정책 실무를 담당해 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사일지침 종료를 두고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보여줬을 뿐 아니라 우주산업 발전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미사일지침 종료는 방위비 협정 타결과 함께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대외적으로 과시하는 상징적이고 실질적 조치다”며 “우주산업의 발전의 길도 연 것이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백신 협력과 관련해 백신 확보 안전성이 높아졌다고 봤다.
문 대통령은 “미국의 기술력과 한국의 생산능력을 결합해 세계의 코로나19 극복과 복원에 기여하자는 양국 의지가 모여졌다”며 “우리의 백신 확보 안전성도 크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우리 기업의 미국진출이 경제적 효과를 거둘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 대통령은 “반도체와 배터리 등 핵심산업에 관한 공급망 협력 강화는 우리 기업들이 미국에 진출해 글로벌 공급망 연계를 강화하는 것을 뜻한다”며 “협력업체 진출과 부품·소재 수출, 일자리 확대 등 연쇄적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고 말했다.
시진핑 중국 주석의 방한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시진핑 중국 주석의 방한을 언제쯤으로 짐작할 수 있냐는 질문에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그는 "한미정상회담 결과를 놓고 중국과 소통하고 있다"며 "코로나로 연기된 시 주석의 방한도 코로나가 안정되면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대규모 한미 군사훈련은 실시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봤다.
문 대통령은 여영국 정의당 대표가 8월에 예정된 한미연합훈련을 취소하거나 연기해 남북 대화의 물꼬를 트자는 제안에 관한 답변으로 “코로나19로 대규모 군사훈련이 어렵지 않겠냐”고 말했다.
그는 30~31일 서울에서 화상회의로 열리는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와 6월 영국에서 열리는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 관한 국회의 관심도 요청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