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지사는 30일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포항공대, 경희대, 성균관대, 아주대 등과 함께 ‘자율주행연구 선도를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재명 지사, 김무환 포항공대 총장, 한균태 경희대 총장, 신동렬 성균관대 총장, 박형주 아주대 총장, 주영창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경기도는 성남 판교 자율주행 테스트베드와 자율주행 연구를 위한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인프라 등을 대학에 제공한다. 자율주행 관련 공공 빅데이터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대학들은 연구결과를 경기도와 공유한다.
대학들은 판교 제2테크노밸리 임직원들에게 빅데이터, 인공지능(AI)에 관한 특별교육도 제공한다.
이 지사는 “국내 자율주행 기술 수준이 미국과 유럽 등 다른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떨어져 있다는 지적이 있다”며 “자율주행 기술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과 정부의 선도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자율주행에 관한 기본 연구와 기술개발이 중요한데 경기도가 가진 공공데이터를 대학과 공유하고 연구결과를 활용한다면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며 “경기도가 적극적 협력으로 자율주행 영역의 기술과 연구단계를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의 자료를 보면 2019년 기준 국가별 자율주행 특허 출원에서 독일이 1832건으로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미국 857건, 일본 746건 등이 잇고 있다. 한국은 4위에 올랐지만 172건으로 3위 일본과 4배가 넘는 차이를 보였다.
이 지사는 경기도를 자율주행 연구개발의 중심으로 만들어 국내 자율주행차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으려 한다.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2021년 1월에 발표한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한 서울-인천-경기-강원지역의 혁신성장과 균형성장을 위한 가치사슬 구조분석’ 보고서를 보면 경기도는 우리 경제의 생산 네트워크에서 핵심고리 구실을 하고 있다.
경기도가 도소매와 연구개발(R&D) 지식서비스, 자동차, 정보통신기술, 반도체, 건설 등에서 중심지 구실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이 경기도의 중심 산업으로 지목한 분야들은 모두 자율주행 미래차 생태계 구축서 꼭 필요한 분야들이기도 하다.
실제 이 지사는 경기도에 갖춰진 통신기술 제조업과 지식서비스 산업을 바탕으로 경기도를 자율주행 미래차 연구개발의 선도지역으로 만들기 위해 그동안 힘써왔다.
출발은 2019년 문을 연 경기도자율주행센터이라 할 수 있다. 이 지사는 이곳을 중심으로 자율주행기업을 유치해 왔다.
2019년 6월 판교제로시티 자율주행 실증단지를 운영했고 같은 해 11월과 2020년 10월에는 판교 자율주행모터쇼도 개최했다.
2021년 1월에는 경기도 성남시에 자율주행차 시험장을 조성했다. 3월부터는 광교테크노밸리에서 자율주행시스템 기술기업의 창업을 돕고 판교 제2테크노밸리 자율주행센터에는 입주기업을 유치해 지원하기 시작했다.
4월27일에는 판교에서 무인셔틀·로봇택시 실증서비스도 시작했다.
경기도와 포항공대 등이 이날 맺은 협약은 이렇게 만든 자율주행 실증단지와 자율주행차 시험장 등에서 얻어진 공공데이터를 자율주행을 연구하는 대학에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 지사는 이를 통해 경기도가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분야에서 가장 앞서가는 핵심지역으로 커나가길 기대한다.
경기도청 관계자는 30일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대학에서 자율주행에 관한 기초연구와 교육에 필요한 데이터를 원한다는 요청이 있어 대학별 맞춤형 데이터를 제공하게 됐다”며 “경기도는 앞으로도 자율주행기업 유치와 실증연구, 데이터 제공 등을 통해 자율주행 생태계 조성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