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금융 위험노출액(익스포저) 현황. <한국은행> |
부동산금융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이 비은행권에서 늘어나고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신용상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8일 ‘국내 부동산금융 위험노출 증가세 확대와 정책대응 방향’ 보고서에서 부동산금융을 두고 “은행권에서 비은행권으로 리스크가 이동하는 풍선효과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한국은행 자료를 보면 2020년 말 국내 부동산금융 위험노출액은 2279조 원으로 2019년 말보다 10.3% 증가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동산금융 익스포저 비율은 118.4%로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10년 이후 가장 높았다.
최종 위험부담 주체 중 금융기관만 보면 비은행의 위험노출액이 44조1천억 원 증가해 은행(35조 원)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신 연구위원은 국내 부동산금융 위험이 확산 추세를 보이고 있어 적정 수준의 총량관리와 함께 위험형태별, 부담주체별로 세부적 대응전략이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신 연구위원은 "부동산 위험노출액 증가속도의 목표수준을 설정하고 완만한 속도의 대출금리 조정을 용인하는 등 구체적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비은행권 중심으로 부동산 관련 대출이 늘어난 점을 고려해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한시적 원리금 상환유예 종료 등 다양한 보완대책을 강구할 것을 제안했다.
부동산금융 위험노출액은 가계 및 부동산기업 대상의 여신과 부동산 관련 금융투자상품에 투입된 자금의 합계를 의미한다. 부동산금융 위험노출액이 증가하면 부동산경기 변동에 따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