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두고 낙관적 전망을 내놓았다.

24일 한국은행이 배포한 이주열 총재 서면간담회 자료에 따르면 이 총재는 올해 물가상승률과 경제성장률이 모두 한국은행에서 2월25일 내놓은 전망치를 웃돌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주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낙관적, 인플레이션 우려 크지 않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한국은행은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기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1.3%로 제시했다.

이 총재는 "유가 상승폭이 커지고 농축산물 가격이 급등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넘어설 것"이라며 "지난해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기저효과도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총재는 물가가 2% 이상 상승하며 화폐가치가 떨어지는 급격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바라봤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 억눌렸던 소비가 단기간에 급증할 수 있지만 이런 상황이 지속돼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이 총재는 "향후 경제성장에 아직 불확실성이 남아 있지만 올해 경제성장률은 기존 전망치를 넘어서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주요 국가에 코로나19 백신 보급이 확대되면서 글로벌 경기회복이 빨라져 한국 수출과 설비투자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총재는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는 추가경정예산 편성 가능성도 올해 경제성장률을 더욱 높이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한국은행은 경제성장률 및 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높아져도 당분간 완화적 통화정책을 지속하기로 했다.

이 총재는 "아직 경제가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정상궤도로 복귀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현재로서는 정책기조를 서둘러 조정할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