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동관 한화큐셀 전무. |
김동관 한화큐셀 전무는 올해 승승장구했는데 제동을 걸 변수가 나타났다.
공정위원회가 한화S&C의 일감 몰아주기를 제재할 것으로 보인다. 한화S&C는 김 전무가 최대주주로 있는 곳이다.
김 전무는 태양광 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연말 인사에서 1년 만에 상무에서 전무로 승진했다.
정재찬 공정위원장은 16일 대한상의가 주최한 CEO 초청 강연회에서 “대기업 총수 일가에 대한 실태조사 중”이라며 “일감 몰아주기 법 위반 여부 검토가 곧 끝나면 제재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정위는 한화그룹, 한진그룹, 현대자동차그룹, SK그룹 등의 일감 몰아주기 조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위 관계자는 “올해 안에 조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정위가 주목하고 있는 기업들은 일감 몰아주기 제재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그동안 분주히 움직였다.
현대차그룹은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과 정의선 부회장이 보유한 현대글로비스 지분을 29.99%로 낮췄고 정 부회장과 정성이 이노션 고문이 보유한 이노션 지분도 29.99%에 맞췄다.
SK그룹은 SK와 SKC&C를 합병해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 오너 일가 지분을 30.64%로 떨어뜨렸다. 언제든 지분을 처분해 규제대상인 30% 아래로 낮출 수 있도록 준비했다.
한진그룹은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세 자녀가 보유하고 있던 계열사 싸이버스카이 지분 100%를 대한항공에 넘겼다.
남은 곳은 한화그룹이다. 한화그룹에서 일감 몰아주기 규제대상으로 지목받는 곳은 IT계열사인 한화S&C다. 그러나 한화그룹은 아직 일감 몰아주기 규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움직임이 가시화되지 않고 있다.
한화S&C는 지분 100%를 오너 일가가 보유하고 있다. 김 회장의 장남 김동관 전무가 지분 50%를 보유한 최대주주이고 김동원 한화생명 부장과 김동선 한화건설 과장이 각각 25%씩을 소유하고 있다.
한화S&C는 지난해 매출의 52.3%인 2100억 원을 한화건설(503억 원)과 한화생명(318억 원) 등 한화그룹 계열사들과 내부거래를 통해 거둬들였다.
올해 10월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한화S&C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한화S&C는 한화투자증권의 전산장비 도입과정에서 부당내부거래를 한 의혹이 제기됐다. 정재찬 위원장은 의원들의 질의에 “법 위반 사실을 확인하면 제재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한화S&C의 경우 오너 지분을 낮추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이다. 한화S&C는 오너 3세로 경영권을 승계하는 데 발판이 될 핵심 계열사로 꼽힌다.
김동관 전무가 한화그룹을 물려받기 위해 한화S&C를 활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화그룹의 지주회사 격인 한화와 한화S&C를 합병하거나 한화S&C를 상장해 승계자금을 마련하는 방안이 떠오른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김 전무가 한화S&C 지분을 처분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한화S&C는 올해 몸집을 더욱 불렸다.
한화S&C는 한화에너지를 100% 자회사로 두고 있다. 한화에너지는 올해 한화그룹에 편입된 한화종합화학 지분 30%를 확보해 최대주주에 올랐다. 한화종합화학이 지분 50%를 보유한 한화토탈에 대한 지배력도 확보했다.
한화에너지는 9월 자동화설비제조사 에스아이티도 1030억 원에 인수했다. 한화S&C가 거느린 계열사들의 자산총액은 거의 10조 원에 이른다.
대기업 오너 일가의 지분이 30% 이상인 회사가 연간 200억 원 이상, 매출의 12% 이상을 계열사간 내부거래로 올리면 일감 몰아주기 규제대상이 된다.
일감 몰아주기 규제를 위반할 경우 대주주가 3년 이상 징역형 또는 2억 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고 해당 기업은 3년 평균 매출액의 5%까지 과징금을 부과받는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