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왼쪽부터 장동현 SK텔레콤 사장, 황창규 KT 회장,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 |
휴대폰을 구입할 때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 제도를 선택하는 고객이 크게 늘고 있다.
이 제도는 고객이 단말기 보조금을 받는 대신 매달 20%의 요금을 할인받는 것을 뼈대로 하는데 대체로 고객에게 유리하다.
이 제도의 인기는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는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 왜 인기있나
미래창조과학부는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 제도에 가입한 고객이 최근 400만 명을 넘어섰다고 11일 밝혔다.
이 제도가 지난해 10월 처음 도입된 뒤 1년 2개월 만에 제도 가입자가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의 15%를 돌파한 것이다.
미래부는 당초 12%였던 요금 할인율을 올해 4월 20%로 상향 조정한 점이 인기를 끌게 된 결정적 이유로 꼽았다.
할인율을 20%로 올린 뒤 단말기 보조금 (최대 33만 원)을 받는 것보다 요금할인 제도에 가입하는 편이 유리한 경우가 생겨나고 있기 때문이다.
애플의 ‘아이폰6S플러스’의 경우 24개월 약정 기준으로 이 제도를 선택한 고객과 단말기 보조금을 받기로 한 고객의 통신비부담이 약 20만 원가량 차이 날 정도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 제도가 고객들의 통신비 부담을 완화하는데 일조하고 있다”며 “최근 이 제도의 인기가 워낙 높아 휴대폰 대리점들이 이 제도를 기준으로 고객에게 요금안내를 하고 있을 정도”라고 말했다.
◆ 통신사 입장에서 ‘불리’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는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 제도의 인기를 달가워하지 않는다.
이 제도가 고객들의 통신비 부담을 줄여주는 데 일조한 반면 이통3사의 수익성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올해 3분기에 이통3사의 가입자당수익(ARPU) 성장률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는데 이 제도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SK텔레콤과 KT의 경우 3분기 가입자당수익이 2분기보다 고작 1% 정도 증가하는데 그쳤다. 3분기에 LG유플러스의 경우 2분기에 비해 가입자당수익이 후퇴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 제도를 선택한 고객이 약정기간에 이통사에 납부하는 요금이 그렇지 않을 때보다 결과적으로 적다”며 “제도가 인기를 끌수록 이동통신사의 수익성 지표인 가입자당수익(ARPU) 성장이 더뎌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당분간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 제도에 가입하는 고객 수는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제도 가입자 400만 명 가운데 절반에 해당하는 200만 명이 최근 석달 동안 이 제도에 신규로 가입했다. 통신사를 옮기지 않는 ‘기기변경’ 고객의 가입율도 23%를 넘어섰다.
이통3사 입장에서 이런 흐름에 제동을 걸려면 단말기 보조금을 상향조정하는 방법밖에 없어 보인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이통사의 수익성이 악화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비즈니스포스트 서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