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회의에서는 광주의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활용한 발전, 울산의 이산화탄소 자원화, 경남의 5세대(5G)통신을 활용한 스마트공장, 세종의 자율주행 실외로봇사업 등 4차 특구 지정을 심의했다.
정 총리는 “규제자유특구는 수소에너지, 바이오, 자율주행, 로봇 등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한 신기술 혁신의 실험장으로서 역할을 잘하고 있다”며 “1년여라는 짧은 시간 동안 투자유치 3169억 원, 벤처캐피털 투자 552억 원, 특구 내 이전기업 109개사, 지역고용 증가 662명 등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전 바이오메디컬 특구에서 코로나19를 계기로 진단기기 수출이 28배 증가하는 등 규제자유특구가 지역 혁신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구 지정에 이어 내실있는 발전을 위한 관리에도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봤다.
정 총리는 “지난해부터 20개가 넘는 특구를 지정했으므로 이제는 규제자유특구의 내실 있는 발전을 도모해야 할 때”라며 “이미 지정된 특구들이 당초 목표를 달성하고 성과를 창출함으로써 지역의 체감도가 높아지도록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앙정부의 정책들과 연계해 국가적으로 필요한 핵심사업을 발굴하는 방식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