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지역균형 뉴딜과 규제자유특구를 연계해 지역 주력산업을 개편하겠다고 했다.

정 총리는 13일 서울 중구 무역보험공사에서 규제자유특구위원회를 주재하고 “규제자유특구가 한국판 뉴딜 완성을 위한 지역 거점이 되도록 지원하겠다”며 “지역균형 뉴딜과 규제자유특구를 연계해 지역의 주력산업을 미래지향적으로 개편하는 방안을 연내에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정세균 "지역균형 뉴딜과 규제자유특구 연계해 지역 주력산업 개편"

정세균 국무총리.


규제자유특구위원회는 2019년 7월부터 세 차례에 걸쳐 21개의 규제자유특구를 지정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광주의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활용한 발전, 울산의 이산화탄소 자원화, 경남의 5세대(5G)통신을 활용한 스마트공장, 세종의 자율주행 실외로봇사업 등 4차 특구 지정을 심의했다.

정 총리는 “규제자유특구는 수소에너지, 바이오, 자율주행, 로봇 등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한 신기술 혁신의 실험장으로서 역할을 잘하고 있다”며 “1년여라는 짧은 시간 동안 투자유치 3169억 원, 벤처캐피털 투자 552억 원, 특구 내 이전기업 109개사, 지역고용 증가 662명 등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전 바이오메디컬 특구에서 코로나19를 계기로 진단기기 수출이 28배 증가하는 등 규제자유특구가 지역 혁신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구 지정에 이어 내실있는 발전을 위한 관리에도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봤다.

정 총리는 “지난해부터 20개가 넘는 특구를 지정했으므로 이제는 규제자유특구의 내실 있는 발전을 도모해야 할 때”라며 “이미 지정된 특구들이 당초 목표를 달성하고 성과를 창출함으로써 지역의 체감도가 높아지도록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앙정부의 정책들과 연계해 국가적으로 필요한 핵심사업을 발굴하는 방식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