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회장은 2017년 11월 손해보험협회장에 오른 뒤 업계의 목소리를 금융당국과 국회, 정부 등에 전달하기 위해 힘써왔다.
김 회장은 국제금융 경력을 살려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을 미루기 위해 ‘IFRS 글로벌협의체’ 구성을 주도적으로 진행했다.
손해율 상승으로 수익성 악화를 겪는 손해보험사들을 위해 자동차보험료 인상 등에서 금융당국을 향해 목소리를 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손해보험업계에서는 김 회장처럼 무게감을 지닌 협회장을 찾는 일이 쉽지 않을 것이란 말도 나온다. 다음 손해보험협회장 추천 과정에서 고려될 수 있는 부분이다.
김 회장은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금융감독위원회 위원장(장관급) 겸 금융감독원장을 지냈다.
다만 2000년대 이후 취임한 손해보험협회장 가운데 연임한 사례가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김 회장도 연임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손해보험협회장이 바뀌더라도 업계 숙원 과제 가운데 하나인 실손보험금 청구 간소화 등이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점에서 업계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관료출신 협회장에 무게가 실린다.
역대 손해보험협회장 가운데 민간출신은 이석용 회장(태평양생명), 박종익 회장(동양화재), 장남식 회장(KB손해보험) 등 3명뿐이다.
다음 은행연합회장후보로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 민병두 전 국회 정무위원장,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 생명보험협회장후보로 진동수 전 금융위원장, 진웅섭 전 금융감독원장 등의 이름이 오르내리는 것도 목소리를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협회장을 바라는 업계의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민간출신 손해보험협회장이 나올 가능성도 열려 있다.
6대 금융협회장 가운데 김용덕 손해보험협회장, 김주현 여신금융협회장, 박재식 저축은행중앙회장 등 3명이 경제관료출신인 데 더해 은행연합회장, 생명보험협회장 후보로 관료 출신들이 거명되면서 관료출신이 금융협회장에 오르는 것을 두고 비판적 시선이 나오고 있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2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직 경제관료들의 능력을 높이 사 모셔가려고 할 수도 있지만 금융개혁에 걸림돌이 될 수 있어 문제"라고 말했다.
손해보험협회는 14일 이사회를 열고 회장후보 추천위원회 구성을 논의한다.
회원사 사장들과 교수 등 외부 인사로 구성된 회장후보 추천위원회에서 후보를 추천하면 회원사 총회에서 회장을 선출한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