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임지훈 카카오 대표(왼쪽부터), 황창규 KT 회장, 이상규 인터파크 인터넷전문은행 추진단장 사장. |
인터넷전문은행이 중금리 시장의 활성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까?
인터넷전문은행이 건전성 규제 유예조치로 설립 초기부터 공격적 마케팅을 펼칠 여력이 생겼다.
또 인터넷은행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다양한 기업들의 방대한 고객 데이터를 바탕으로 리스크를 줄이면서 중금리 시장에서 금리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인터넷은행, 건전성 규제 완화
금융위원회는 시중은행이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을 산정할 때 기준으로 삼는 바젤3규제 적용을 인터넷은행에 한해 2019년까지 유예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바젤3규제는 국제결제은행(BIS) 총자기자본비율 기준을 8% 이상에서 단계적으로 11.5%까지 높이고 보통주 자본비율 4.5%, 기본자본비율 6% 기준 유지를 권고하고 있다.
단 바젤3규제 가운데 유동성 규제인 LCR 규제는 인터넷은행에도 2016년부터 도입하기로 했다. 2016년 70%를 적용하고 규제비율을 매년 10%포인트씩 높여 2019년부터 일반은행과 같은 100%를 적용하는 식이다.
인터넷은행은 건전성 규제를 유예받으면서 초기부터 공격적 중금리 마케팅에 나설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한 컨소시엄 3곳 모두 중금리 대출시장 공략을 주요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다.
K-뱅크는 빅데이터 역량을 활용한 10%대 중금리 대출을 선보이겠다고 밝혔으며 I-뱅크도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한 중금리 대출시장을 창출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카카오뱅크 역시 중소상공인과 금융 소외계층, 스타트업 등 기존 은행의 혜택을 충분히 받지 못하던 고객층을 위한 금융서비스를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12월 카카오뱅크와 K-뱅크, I-뱅크 컨소시엄 등 3곳에 대한 인터넷은행 예비인가를 결정한다.
예비인가를 받은 컨소시엄 1~2곳은 2016년 상반기 안에 본인가를 받은 뒤 6개월 안에 영업을 시작하게 된다.
◆ 빅데이터 활용, 금리와 리스크 관리 강점
시중은행들도 중금리 상품 출시를 늘리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중간신용등급(5~7등급) 고객들이 상품을 이용하기에는 제한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 나온 시중은행의 중금리 상품은 사실상 실패에 가깝다”며 “소득과 직업에 상관없이 대출해주겠다는 문구를 내세웠지만 실제로 대출을 받으려고 알아보면 조건이 까다로워 서민들이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대출금액도 소액으로 제한돼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시중은행이 10% 이내 혹은 10% 초중반 대의 낮은 금리로 신용등급이 낮은 저축은행 고객들에게 대출을 해 줄 경우 부실이 생겨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이 때문에 실제로 시중은행에서 중금리 대출을 받은 고객들이 제한적인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간신용등급 고객들은 주로 저축은행과 대부업체를 이용한다. 그런데 저축은행과 대부업계의 경우 일반적인 연체율이 16%, 대손율이 13%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터넷전문은행은 여러 기업들로 이뤄진 컨소시엄 형태이기 때문에 시중은행보다 금리나 리스크 관리 면에서 중금리 대출에 강점을 보유할 수 있다.
인터넷전문은행은 컨소시엄에 참여한 기업들의 고객 데이터를 활용해 좀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고객들의 신용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KT컨소시엄(K뱅크)에 참여한 8퍼센트의 경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정보와 신용정보업체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자체적인 신용평가시스템을 구축해 중금리대(연평균 대출금리 7.95%)의 개인 간(P2P) 대출을 중개해주고 있다.
8퍼센트는 지난해 12월부터 P2P 대출 서비스를 시작해 최근 30건 가량의 대출상환이 만료됐으며 연체율은 0%였다.
김건우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중간신용등급자들이 인터넷전문은행의 유망한 잠재고객이 될 것”이라며 “인터넷전문은행의 중금리대출 진출이 성과를 내면 시중은행을 비롯한 여타 금융업권에서도 중금리대출에 대한 영업을 활발히 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