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SK하이닉스에 따르면 이석희 사장이 취임한 뒤 경영시스템 ‘SHE’를 기업 내부에서 외부 협력사로 본격적으로 넓히고 있다.
SHE는 안전(Safe), 건강(Health), 환경(Environment)을 척도로 삼는 SK하이닉스 경영시스템을 말한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2019년 국내외 협력사 69곳에 SHE 경영과 관련한 컨설팅을 제공했고 이 가운데 10곳을 놓고는 설계 단계에서부터 직접 참여해 작업환경 개선활동과 관련 비용을 지원했다”며 “앞으로 협력사 업종별 위해요인을 분류해 더 구체화한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SHE 세부기준을 보면 화학물질, 전기 및 기타 에너지원, 화재, 차량 및 추락에서 노동자 안전을 보장하도록 돼있다.
또 잠재적 비상사태에 관한 대응방안, 산업재해와 직업병에 관한 예방 및 관리, 설비 안전 유지, 노동자에게 청결한 환경 제공, 안전보건 관련 교육 등과 같은 항목도 충족해야 한다.
SK하이닉스는 컨설팅을 통해 협력사가 이런 기준들을 지킬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도록 돕는다. 또 컨설팅이 단순히 일회성 지원에 그치지 않도록 협력사가 SHE 기준을 지속해서 지키는지 실사해 협력사 평가에 반영한다.
이 사장이 SK하이닉스뿐 아니라 협력사도 엄격한 SHE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최근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강조하는 사회적 가치 중심의 경영방침과 연결돼 있다.
협력사 노동자들이 안전하게 일할수록 SK하이닉스도 함께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많은 협력사 구성원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 회사에 기여하고 있다”며 “그들이 시스템 차원에서 생기는 구멍 때문에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진정한 동반성장”이라고 말했다.
이 사장의 이런 SHE 경영은 협력사로 한정되지 않는다.
SK하이닉스 주력사업인 반도체산업에는 다양한 화학물질이 사용된다. SK하이닉스는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지역사회와 적극적으로 공조하고 있다.
화학물질 지역협의회 등을 통해 지방자치단체, 외부 전문가, 이천·청주시 주민들에게 화학물질 안전관리 현황은 물론 사고 발생에 따른 대응계획도 공유하고 있다.
또 경기·충청지역에서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기업들과 화학 안전공동체를 운영해 화학물질 관리에 협력하고 있다.
SK하이닉스의 ‘일환경건강센터’도 이 사장이 지역으로 안전경영을 확대한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일환경건강센터는 SK하이닉스가 2019년 3월 청주에 설립한 민간 공익 산업보건센터로 노동자들에게 직업병 예방, 산업재해 관련 상담서비스를 제공한다.
SK하이닉스는 재원만 출연하고 실제 운영은 민간 재단 ‘숲과나눔’이 담당한다. SK하이닉스의 협력사뿐 아니라 지역 영세업체 노동자도 직업성 질환과 관련한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이 사장은 앞으로 대내외로 SHE 연계를 넓히며 안전경영에 더욱 힘쓸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SK하이닉스는 최고경영자(CEO) 직속조직으로 SHE경영위원회를 구성해 매달 1회 운영하고 있다. SHE경영위원회는 글로벌 안전 및 환경과 관련한 동향을 점검하는 한편 사내 정책을 결정할 때 SHE 방침을 반영하도록 돕는다.
이 사장이 SHE경영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이 사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궁극적 목표인 ‘구성원 행복’을 위해 모든 제도와 경영시스템을 구성원, 그리고 현장 중심으로 바꿔가겠다”며 “‘더 열심히’ 일하는 것이 아니라 ‘더 행복하게’ 일함으로써 성과를 창출하고 함께 성장하는 모습이 SK하이닉스가 꿈꾸는 기업문화”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
이제 안전이다.
코로나19는 삶의 질보다 안전이 우선함을 깨닫게 했다.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이다. K-Pop에서 K-방역에 이르기까지 국제적 위상도 크게 높아졌다.
하지만 안전의 눈으로 살펴보면 우리 사회는 여전히 가야 할 길이 멀다.
위험의 외주화를 막는 ‘김용균법’이 시행된 지 반 년이 넘었지만 산업현장의 사망사고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핀테크를 필두로 비대면산업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어 개인정보 보호대책을 마련하는 일도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제 안전이 기업을 평가하는 주요한 잣대가 됐다. 안전경영이 기업의 경쟁력인 시대다.
국가도 마찬가지다.
안전경영을 위한 기업들의 노력과 안전사회를 향한 정부와 정치권의 움직임을 짚어본다. [편집자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