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때문에 이번 혁신 전담조직이 석유공사를 대상으로 한 재무상황 개선방안을 내놓을 것이라는 말이 석유공사 안팎에서 나온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원유 수요가 급감하며 국제유가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어 혁신 전담조직이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놓기 어려울 것이라는 시선도 있다.
석유공사는 해외에서 석유 채굴사업을 펼치고 있는데 유가가 떨어지면 석유공사의 판매단가도 하락해 실적이 악화할 수밖에 없다.
특히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며 전세계 석유업계가 전반적으로 침제해 석유공사가 재무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관련 시설이나 사업을 매각하는 것도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저유가 기조가 이어지며 세계 석유기업들의 자산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정부가 코로나19 위기까지 모두 고려해 재무적 어려움을 해소해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주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2년 전 나온 1차 혁신 전담조직의 대책이 자원개발 공기업들의 재무상황을 개선하는 데 큰 해결책이 되지 못한 만큼 이번에도 성과를 낼 만한 대책을 내놓지 못할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2017년 11월부터 2018년 7월까지 활동한 제1차 해외자원개발 혁신 전담조직은 자원개발 부실원인을 밝혀내고 광물자원공사와 유관기관의 통합을 제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에 따라 한국광물자원공사와 한국광해관리공단을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했고 20대 국회에서 관련 법 개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하지만 광해관리공단과 강원도의회, 시민단체 등이 거세게 반발해 20대 국회의 문턱을 넘지 못했고 21대 국회에서 최근 다시 관련 법안이 발의됐다.
석유공사와 가스공사는 1차 혁신 전담조직이 내놓은 구조조정 방안에서 제외되며 통합 위기는 넘기며 정부의 재정지원 없이 자구책을 마련해 위기를 해결해야하는 과제를 안았지만 큰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해외자원개발 혁신 제2차 전담조직(TF)’을 공식적으로 출범했다. 2차 혁신 전담조직은 2021년 1월까지 6개월 동안 활동하게 되며 필요하다면 6개월 안에서 활동기간을 연장하게 된다.
1차 혁신 전담조직에 이어 2차 혁신 전담조직에서도 박중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가 위원장을 맡았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2차 혁신 전담조직은 해외자원개발 주요 사업과 공기업 재무상황을 객관적으로 재평가하고 공기업 구조조정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점검 및 보완할 것"이라며 "공기업과 민간의 협력을 토대로 자원개발 추진체계와 관련해서도 심도있는 논의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