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니와 마이크로소프트가 새로운 게임기를 출시하면서 메모리반도체 수요를 끌어올릴 것으로 전망됐다.
김경민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16일 보고서를 통해 “게임기 신제품 판매효과로 올해 D램 수요는 지난해보다 2.1% 증가하고 낸드 수요는 5.8% 증가할 것”이라며 “코로나19 재확산 여부와 관계없이 게임기 수요는 신제품 효과에 힘입어 탄탄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소니는 ‘플레이스테이션5(PS5)’를, 마이크로소프트는 ‘엑스박스 시리즈X’를 준비하고 있다.
PS5와 엑스박스 시리즈X는 공통적으로 16GB 용량 D램을 탑재한다. 게임기 1대와 D램 4GB 기준 스마트폰 4대가 비슷한 메모리반도체 수요를 창출한다는 뜻이다.
또 낸드플래시(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SSD)를 보면 PS5는 825GB를, 엑스박스 시리즈X는 1TB를 싣는다. 각각 저장공간 120GB 기준 스마트폰 6.9대, 8.3대에 해당하는 용량이다.
이에 따라 김 연구원은 올해 PS5 1600만 대, 엑스박스 시리즈X 500만 대가 판매된다고 가정할 때 D램 쪽에서는 스마트폰 8400만 대가 판매되는 효과가 발생하고 낸드플래시에 관해서는 스마트폰 1억5천만 대 판매와 같은 효과가 나온다고 예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
김경민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16일 보고서를 통해 “게임기 신제품 판매효과로 올해 D램 수요는 지난해보다 2.1% 증가하고 낸드 수요는 5.8% 증가할 것”이라며 “코로나19 재확산 여부와 관계없이 게임기 수요는 신제품 효과에 힘입어 탄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소니 게임기 '플레이스테이션5'.
현재 소니는 ‘플레이스테이션5(PS5)’를, 마이크로소프트는 ‘엑스박스 시리즈X’를 준비하고 있다.
PS5와 엑스박스 시리즈X는 공통적으로 16GB 용량 D램을 탑재한다. 게임기 1대와 D램 4GB 기준 스마트폰 4대가 비슷한 메모리반도체 수요를 창출한다는 뜻이다.
또 낸드플래시(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SSD)를 보면 PS5는 825GB를, 엑스박스 시리즈X는 1TB를 싣는다. 각각 저장공간 120GB 기준 스마트폰 6.9대, 8.3대에 해당하는 용량이다.
이에 따라 김 연구원은 올해 PS5 1600만 대, 엑스박스 시리즈X 500만 대가 판매된다고 가정할 때 D램 쪽에서는 스마트폰 8400만 대가 판매되는 효과가 발생하고 낸드플래시에 관해서는 스마트폰 1억5천만 대 판매와 같은 효과가 나온다고 예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