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인천시에 따르면 현재까지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확진 판정이 난 9곳의 양돈농장 가운데 5곳이 인천시 강화군에 몰려있다.
24일 송해면의 농장을 시작으로 25일 불은면, 26일 삼산면 석모도와 강화읍, 그리고 27일 하점면 사례까지 나흘 동안 매일 한 건씩 확진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축산차량 출입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진 강화군 옆 석모도에서도 확진 판정이 나옴에 따라 감염 원인을 놓고 의문이 커지고 있다.
박 시장은 6월 북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했을 때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 유입방지를 위해 방역상황실 설치하고 24시간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하며 운영해 왔다.
17일 파주에서 첫 확진 판정이 나오고 아프리카돼지열병 위기경보가 심각단계로 격상되자 18일에는 인천시청 재난상황실에 재난안전대책본부를 마련했다.
박 시장은 직접 본부장을 맡아 진두지휘하며 6개 실무반을 편성하고 상황이 끝날 때까지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하기로 했다.
박 시장은 23일 김포시 통진읍에서 세 번째로 확진 판정이 난 뒤로는 김포시와 강화도를 연결하는 초지대교와 강화대교 2곳의 교량에 거점 소독시설을 마련해 방어선을 구축하고 방역을 강화해 왔지만 방역이 뚫리면서 당혹스러워 하고 있다.
초지대교와 강화대교는 과거 구제역이나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가축 전염병이 발생했을 때도 인천 강화군으로의 확산을 저지하기 위한 ‘마지노선’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강화군 농가를 포함해 인천시 전체 돼지농장 입구 방역초소 설치·운영, 돼지농가 일일 소독지원, 생석회와 야생멧돼지 기피제 공급 등 자체적으로 방역 강화조치를 시행하고 있다”며 “인천시에서 열리기로 했던 모든 축제와 행사도 취소해 돼지열병 확산 차단에 최대한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 양돈산업의 중심인 강화군에 나흘 연속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판정이 나면서 인천 양돈산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박 시장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강화도 전제 지역으로 확산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교량으로 연결된 섬 지역인 강화군에는 인천 전체 43개 양돈농가 가운데 81.4%인 35곳이 몰려 있다. 강화군 양돈농가의 사육 두수는 인천 전체 사육 두수의 88% 가량에 이른다.
강화도에 전체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산되면 인천시 양돈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판정으로 27일 현재 강화군에서 살처분했거나 살처분 예정인 돼지는 15개 농가 1만2584마리로 강화군에서 사육되고 있는 돼지 3만8001마리의 33%에 이르는 수준이다.
돼지를 사육하는 농민들의 걱정과 불만도 커지고 있다.
돼지를 살처분한 농가는 정부로부터 산지 가격의 100%로 보상을 받을 수 있지만 다시 농장을 꾸리기까지 들어가는 부수비용 등은 보험을 통해 보상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는 가축재해보험에는 돼지열병피해를 보장하는 상품이 없어 농가가 돼지 살처분에 따른 보험금을 받기 어렵다. 가축재해보험에서는 어린돼지전염성위장염(TGE), 돼지유행성설사(PED), 로타바이러스만 보장 대상에 포함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