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업계에 따르면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지배구조를 문제삼고 산업은행도 업무협약 체결을 미루면서 금호아시아나그룹이 느끼는 압박감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최 위원장은 3일 기자들과 만나 아시아나항공 사태의 근본적 원인으로 지배구조를 꼽았다.
박삼구 회장에서 금호고속, 금호산업, 아시아나항공으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를 전면으로 겨냥한 것으로 결국 지배구조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아시아나항공이 언제든 다시 심각한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보통 기자들 앞에서 발언하기 전 산업은행 등 실무기관과 정부의 사전 교감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볼 때 최 위원장의 발언은 그냥 넘기기 어렵다. 금융당국과 산업은행이 한 목소리로 박 회장에게 지배구조와 관련한 결단을 하라는 뜻을 내비친 셈이다.
산업은행은 아시아나항공의 주채권은행이긴 하지만 그룹의 지배구조를 놓고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아시아나항공 채무 가운데 비금융권 부채는 3조 원에 이르는 반면 산업은행을 비롯한 금융권 부채는 4천억 원에 그친다.
산업은행이 직접적으로 박 회장을 압박하기는 어려운 상황에서 최 위원장이 박 회장의 ‘결단’을 간접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창수 아시아나항공 대표이사 사장이 임직원 담화문 형태로 자구계획을 내놓은 지 이틀 만에 최 위원장의 발언이 나왔다는 점 역시 눈여겨봐야 한다.
한 사장은 1일 자산 매각, 노선 효율화, 조직개편 등 3가지를 뼈대로 한 일종의 자구계획을 내놓았다. 산업은행과 업무협약을 앞두고 노력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사실상 부족하다는 답변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박 회장과 아시아나항공이 연결고리를 끊는 방안으로 우선 박 회장이 들고 있는 금호고속 지분을 매각하는 방안이 제기된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박 회장(31.1%)-금호고속(45.3%)-금호산업(33.5%)-아시아나항공의 지배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박 회장이 보유한 금호고속 지분을 매각하면 아시아나항공과 연결고리가 약해진다.
지난해 12월 박 회장은 차입금 만기 연장을 위해 금호산업 주식 1만 주, 아시아나항공 주식 1만 주, 금호고속 주식 14만8천 주(지분율 5%)를 산업은행에 담보로 제공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이 정도의 사재 출연으로는 채권단을 만족시킬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최종구 위원장은 유례없이 강도 높게 박 회장을 압박하고 있다. 그는 “과거에도 박 회장이 한 번 퇴진했다가 복귀한 적이 있는데 또 그렇게 한다면 시장의 신뢰를 얻기 어려울 것"이라며 박 회장의 복귀 가능성을 원천 차단했다.
현실적으로 아시아나항공이 에어부산이나 에어서울 등 핵심 자회사를 매각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에어부산은 특히 주식시장에 상장돼 있어 바로 현금화할 수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에어부산 지분 44.17%를 들고 있다.
그러나 아시아나항공이 보유한 에어부산 지분가치는 4일 종가 기준으로 1074억 원에 그쳐 큰 도움은 되지 않는다.
이 밖에 매각 가능성이 있는 자산으로 금호리조트, 아시아나타운, 아시아나IDT, 아시아나개발, 아시아나에어포트 등이 꼽힌다.
일각에서 채권단이 박 회장에게 아시아나항공의 매각 권고를 검토하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등 구체적 방법까지도 거론되고 있다.
지금의 지배구조 속에서 살릴 방안을 고민할 게 아니라 이번 기회에 아예 새로운 주인에게 넘겨 대규모 자금 수혈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 회장으로선 받아들이기 쉽지 않은 방안이지만 지금과 같이 계속 ‘더’를 요구하는 압박이 이어지면 결과를 장담하기 어렵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 위원장으로부터 박 회장의 복귀 가능성을 차단하는 발언이나 금호아시아나그룹 지배구조와 관련한 발언이 나온 점은 심상치 않다”며 “박 회장이 어떤 카드를 내놓든지 채권단과 금융당국의 눈에 차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