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특정 프로그램의 기능이나 데이터를 다른 프로그램이 접근할 수 있도록 정한 통신규칙이다. 접속 권한을 보유한 자의 범위에 따라 폐쇄형(Closed API), 공개형(Open API)로 나뉜다.
금융위는 공개형 API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공개형 API로 핀테크 기업들도 기존 금융회사들과 동등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금융권의 경쟁과 혁신을 촉진한다는 것이다.
금융위는 은행권 공동 공개형 API의 기능과 역할을 강화하고 증권, 보험 등 금융산업 전반에 공개형 API 활성화를 추진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최 위원장은 핀테크 가운데 특히 금융결제 분야에서 결제망 공개를 통한 혁신이 중요하다고 바라본다.
그는 “세계적으로 핀테크 중심의 금융혁신이 금융결제 분야에서 가장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며 “금융결제 인프라가 개방되면 핀테크기업들이 은행과 별도 제휴 없이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결제, 송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돼 혁신기업들이 금융 플랫폼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은행권 금융결제망의 개방을 위해 25일 간담회를 열어 금융지주 회장들과 세부내용을 논의한다.
최 위원장의 움직임은 20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한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추진하기 위한 후속조치다.
홍 부총리는 회의에서 “간편결제와 송금 등 금융결제 분야의 혁신은 핀테크기업이 금융 플랫폼으로 도약하는 데 필수적 인프라”라며 “핀테크 기업들도 저렴한 비용으로 시중은행의 결제망을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시스템을 올해 안으로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핀테크 활성화 과정에서 금융위의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금융위를 중심으로 금융 분야에서 규제 샌드박스를 시행하고 금융규제 개선 태스크포스(TF)를 통해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등 핀테크 활성화를 위한 규제혁신 노력을 시리즈로 구성해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핀테크 혁신을 위해 꾸준히 공을 들여 왔다.
2018년 7월에는 조직개편을 통해 전담 조직으로 30여 명 규모의 금융혁신기획단을 꾸렸다. 올해 처음으로 79억 원 규모의 핀테크 지원 예산도 배정받았다.
인터넷전문은행특별법, 금융혁신지원특별법 등 금융 법안의 국회 통과를 위해 의원들을 설득하는 데 힘을 쏟기도 했다.
법률이 마련되면서 제3인터넷은행 인가, 금융규제 샌드박스 등 금융위의 금융정책 추진이 가능해 졌다. 금융위는 4월에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위한 혁신금융 서비스 지정, 5월에 제3인터넷 전문은행 인가 등을 앞두고 있다.
최 위원장은 1월에 열린 핀테크 현장간담회에서 “올해는 핀테크산업 활성화 노력이 결실을 맺을 때”라며 “지난해 마련한 핀테크 인프라를 토대로 올해는 핀테크산업 내실화를 위한 골든타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