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노총 광주본부 등 노동계가 19일 광주광역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형 일자리사업 논의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
한국노총이 광주형 일자리사업과 관련한 논의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노동계가 사회적 대화를 거부하면서 첫 광주형 일자리사업으로 꼽혔던 광주광역시의 현대차 투자 유치 시도가 좌초 위기에 몰렸다.
한국노총 광주본부는 19일 광주광역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형 일자리사업을 왜곡하고 변절시킨 광주광역시의 투자협상을 규탄한다”며 “광주 시민을 모든 비정규직보다 못한 일터로 몰아넣고 최저임금에 허덕이게 하려는 광주시의 투자 유치 협상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국노총은 사회적 대화 참여 제안을 거부한 것을 놓고 책임을 광주시에 돌렸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한국노총은 “광주시가 사회적 대화를 내팽개치고 밀실협상으로 일관하는가 하면 현대차에게 무슨 약점이라도 잡힌 것처럼 최악의 조건을 붙잡고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차 생산공장에서 일하게 될 노동자들의 임금을 살펴볼 때 양극화 해소를 바로잡자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철학과도 배치된다고 주장했다.
한국노총은 “생산직 초임으로 4천만 원가량이 적정하다고 봤지만 민선 6기 광주시는 초임으로 3천만 원을 주장했다가 지금은 아예 언급조차 하지 않고 있다”며 “광주시 생활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임금을 받으라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광주형 일자리사업의 핵심은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지역 청년들의 타지 유출을 막자는 데 있지만 광주시의 사업계획은 이와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광주시는 한국노총의 의견 표명 이후 “광주형 일자리사업을 어떻게 추진할 것인지 논의하는 협상 구조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밟고 있었다”며 “앞으로도 광주형 일자리사업 논의에 노동계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형 일자리사업은 임금을 대기업 절반 수준으로 줄이는 대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노동자들에게 복지를 제공하는 형태로 대기업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겠다는 취지에서 민선6기 윤장현 전 시장 때부터 추진된 사업이다.
광주시는 현대차로부터 연간 10만 대의 자동차 생산능력을 갖춘 공장 조성에 530억 원을 투자하겠다는 내용의 투자의향서를 받은 뒤 현대차와 협상을 진행해왔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