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업계에 따르면 평양에서 열리는 18일 남북 정상회담에서 개성공단 재가동 등도 논의될 것으로 점쳐진다.
정부는 남북정상회담 방북 명단에 신한용 개성공단 기업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을 포함하는 등 개성공단 재가동과 관련해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손 행장은 개성공단 재가동을 누구보다 기다리는 사람들 가운데 한 명이다.
개성공단이 재가동되면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던 우리은행 개성공단지점도 다시 문을 열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은행은 2004년 7월 개성공단지점을 열어 북한 지역에서 영업 경험이 있는 유일한 시중 은행으로 꼽힌다. 앞으로 남북 경제협력이 활성화되면 이런 경험을 토대로 우리은행의 중요한 전략부문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손 행장은 우리은행 개성공단지점을 언제든지 다시 열 준비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개성공단지점은 본점 지하에 임시 영업점을 열어두고 지금도 개성공단 입주기업과 꾸준히 거래하고 있다”며 “2016년 개성공단에서 철수할 때 입주기업의 각종 전산 기록을 보존하고 있는 만큼 개성공단 재가동이 결정되면 언제라도 영업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유엔(UN) 등 국제사회의 북한 경제제재 내용에 개성공단의 운영도 포함되는 만큼 남북 사이의 합의가 곧바로 개성공단 재가동으로 이어지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관계자는 "손 행장이 14일 개성공단 남북 연락공동사무소 개소식에 참가하는 등 개성공단 재가동을 두고 남북 사이에서는 어느 정도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본다"면서도 "유엔 제재는 남북 합의와 별개로 북한 비핵화 등을 통해 따로 해결해 나가야 하는 문제라 손 행장이 개성공단지점 문을 다시 열 때까지 시간이 다소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손 행장은 5월 우리은행 ‘남북 금융협력 태스크포스(TF)’를 만들었다.
남북 금융협력 태스크포스는 전략기획, 글로벌, 투자은행, 개인영업, 기업영업 등 8개 부서와 우리금융연구소가 참여하고 있다.
손 행장은 남북 금융협력 태스크포스를 통해 국제사회의 북한 경제제재의 영향을 받지 않을 가능성이 점쳐지는 철도, 항만, 도로 등 사회간접자본(SOC) 구축 사업 등에 참여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국내 은행들이 국제사회의 경제재제에서 다소 벗어날 가능성이 있는 철도, 도로 연결 등에 관심이 많다”며 “북한에 관한 투자는 과거 금강산 개발처럼 북한 정권의 변심에 따라 자본이나 시설을 잃을 수 있다는 위험이 있지만 대규모 투자를 통해 큰 이익을 얻을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