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용 기자 romancer@businesspost.co.kr2018-09-02 07:30:00
확대축소
공유하기
셀트리온이 금융당국의 회계 가이드라인 제시에 힘입어 연구개발비 회계 관련 논란을 해소할 수 있을까?
셀트리온은 그동안 각종 회계 관련 논란에 휘말렸는데 특히 올해부터는 연구개발(R&D)비용의 무형자산화를 놓고 잡음이 끊이질 않았다.
▲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2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바이오기업의 연구개발비와 관련해 가이드라인(감독 기준)을 9월 안에 제시하기로 하면서 셀트리온의 연구개발비 무형자산화 논란이 사그라질지 주목된다.
현행 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제약바이오기업들은 연구개발비를 비용으로 처리하거나 무형자산으로 분류할 수 있다.
K-IFRS 규정 제1038호에 이를 가르는 기준이 정해져 있지만 사실상 기업들이 스스로 정하는 대로 할 수 있었다.
회사가 지출했던 연구개발비를 ‘개발비’로 분류하면 무형자산으로 되고 지출금액이 감가상각 형태로 장기간에 나눠 회계에 반영된다.
반면 ‘경상개발비’나 ‘연구비’로 분류하면 판매관리비에 해당돼 비용으로 잡히면서 영업이익이 단기간에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셀트리온은 그동안 대부분의 연구개발비를 무형자산으로 분류하면서 끊임없는 논란에 휘말렸다.
셀트리온은 2016년에 연구개발에 2639억 원을 썼는데 이 가운데 75%인 1986억 원을 개발비로 분류해 무형자산으로 처리했다. 지난해에도 연구개발비로 2270억 원을 지출했는데 이 가운데 74.4%에 해당하는 1688억 원을 무형자산으로 분류했다.
셀트리온의 연구개발비 무형자산화를 놓고 실적 부풀리기 아니냐는 의혹도 업계 일부에서 나왔다.
셀트리온은 2016년 회계 처리부터 무형자산 상각 기간을 기존 ‘3~15년’에서 ‘8~15년’으로 변경했는데 이를 놓고도 감가상각 기간을 늘리는 방법으로 지출을 줄여 영업이익을 부풀렸다는 시각도 자리잡았다.
한상희 도이체방크 연구원은 올해 초 “셀트리온은 비용으로 처리된 연구개발비 비중이 전체 매출의 27%에 그치는 반면 글로벌 경쟁사들은 2016년 평균으로 볼 때 연구개발비 비중이 81%에 이른다”며 “글로벌 경쟁사들의 연구개발비 평균을 적용해 수정해 보면 셀트리온의 영업이익률은 62.4%에서 30%대 중반으로 떨어진다”고 지적해 파문이 일기도 했다.
실제로 셀트리온이 연구개발비를 비용으로 전부 처리하면 실적이 크게 악화된다.
셀트리온은 2016년 순이익 1804억 원을 냈는데 연구개발비를 모두 비용으로 처리하면 182억 원의 순손실이 난다. 2017년에는 순이익 4007억 원을 냈는데 이 역시 연구개발비를 비용으로 처리하면 2319억 원으로 급감한다. 올해 상반기 역시 이런 방식으로 하면 순이익이 1662억 원에서 862억 원으로 반토박 난다.
셀트리온은 연구개발비의 무형자산화를 놓고 바이오시밀러산업의 특성을 주장해왔다.
다른 신약 개발과 달리 실패할 확률이 없고 지금까지도 실패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신약 개발에 들어가는 연구개발비는 무형자산이 아닌 비용으로 처리하고 있다고도 해명한다.
셀트리온의 주장은 실제로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실패한 적이 없기에 타당한 면이 있다고 지지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 바이오시밀러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셀트리온이 개발을 마치지 않은 바이오시밀러 제품들과 관련해서는 다른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는 반론도 업계 일부에서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금융당국이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연구개발비와 관련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셀트리온이 이에 맞춰서 회계처리를 한다면 셀트리온의 회계 처리에 대한 논란은 크게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금융위원회는 8월30일 한국거래소에서 ‘제약·바이오기업 회계처리 투명성 관련 간담회’를 열고 9월 중에 제약바이오업계 연구개발비용 회계 처리의 감독 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가 만든 감독 기준은 3분기 분기보고서부터 적용된다.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은 8월30일 “제약바이오분야와 같이 산업 특성에 대한 특별한 고려가 필요한 부문부터 ‘대화와 지도’ 방식의 감독을 강화해 나가겠다”며 “기업의 회계 처리와 외부 감사업무의 불확실성이 완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