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기무사령부(기무사)가 촛불집회 대비 계엄 문건을 작성하는 태스크포스(TF) 이름을 '미래 방첩업무 발전방안'으로 하는 등 비밀리에 계엄 문건 관련 활동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기무사가 작성한 계엄문건 보고서의 원래 제목도 ‘전시 계엄 및 합수 업무 수행방안’이 아닌 ‘현 시국 관련 대비계획’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 전익수 특별수사단 단장.
기무사 의혹 특별수사단은 2일 기무사의 계엄 문건 작성과 세월호 사건 당시 민간인 사찰 의혹과 관련한 수사의 진행상황을 발표했다.
특별수사단은 '기무사 의혹 특별수사단 수사 경과’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계엄문건 보고서의 원래 제목은 언론에 공개된 제목인 ‘전시 계엄 및 합수 업무 수행방안’이 아니라 ‘현 시국 관련 대비계획’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며 “기무사는 계엄문건 작성 태스크포스(TF)를 비밀리에 운영하기 위해 '미래 방첩 업무 발전방안TF'란 이름으로 인사명령·예산, 별도 장소를 확보했고 망이 분리된 PC를 이용해 문건을 작성했으며 태스크포스 운영 뒤 사용된 전자기기를 포맷했다”고 말했다.
인사, 예산, 장소, 활동 등 철저한 보안 속에 계엄을 준비한 뒤 치밀하게 자료도 파기했다는 것이다.
특별수사단은 “계엄 문건이 저장돼 있던 기무사의 이동식 저장장치(USB) 안에 수백 개의 파일이 저장됐다가 삭제된 흔적을 발견하고 이 중 상당수를 복구했다”며 “복구된 파일에 계엄 시행 준비에 관한 내용이 다수 포함된 점에 주목하고 압수물 분석 자료와 관련자 진술 등을 통해 구체적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월호와 관련된 민간인 사찰 의혹도 사실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별수사단은 기무사 요원들이 세월호 유가족을 두고 조직적이고 전방위적으로 사찰했다는 증거를 포착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특별수사단은 “기무사는 세월호 참사가 발생된 뒤 명목상 현장을 지원 한다며 세월호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일반 지원 업무 외에도 유가족을 사찰한 사실을 확인했다”며 “사고 현장과 유가족들이 머문 진도체육관, 단원고 등 현장과 사이버 사찰을 통해 유가족의 성향, 정부 발표에 대한 반응, 일부 유가족의 사진, 학력,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수집해 보고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특별수사단은 7월16일 본격적으로 수사에 착수해 계엄 문건 관련 이동식저장장치(USB)를 확보한 다음 계엄 문건 작성 태스크포스(TF) 관련자들 25명을 소환하는 등 조사를 벌여왔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