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제로페이’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30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는 ‘제로페이 도입을 위한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소비자 유인책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과 관계자는 “제로페이 관련 논의가 8월 말까지 진행될 것”이라며 “실효성 강화방안 등을 놓고 관계 기관들이 여러 의견을 내고 있지만 아직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말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5일 각 지방자치단체장과 은행, 민간기업 등과 업무협약식을 열고 올해 안에 결제 중간 단계가 없는 제로페이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제로페이의 도입 목적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소상공인의 비용 절감인데 이와 관련해 실제로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라는 의견이 소상공인업계에서 꾸준히 나오고 있다.
제로페이는 ‘서울페이’를 뼈대로 만들어지는 스마트폰 앱으로 판매자 QR코드를 인식하면 구매자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 결제대금이 이체되는 직거래 결제 시스템이다.
중간 마진이 없고 민간 결제 플랫폼기업들이 기존 플랫폼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사실상 신용카드를 대체한다기보다 현금 간편결제 서비스에 가깝다는 의미에서 실효성이 떨어진다.
계좌에 즉시 이체할 수 있는 현금을 보유하고 있을 때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수요를 끌어낼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이 3월 발표한 ‘2017년 지급수단 이용행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가장 구매력이 높고 스마트폰 앱 형태의 결제수단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30~40대가 압도적으로 높은 신용카드 이용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급수단별로 6개월 동안 이용 경험이 있냐는 설문에 신용카드는 선택한 비율은 30대는 95%, 40대는 93.8%, 50대는 90.8%, 60대는 73.9%였다.
반면 체크카드 이용 비중은 2015~2017년 3년 평균 20.4%로 크게 높지 않다.
간편결제 기능 시장이 전체 결제시장의 1.7%에 그치는 상황에서 신용카드 기능이 포함되지 않은 결제앱을 사용할 소비자가 많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인책으로 제공되는 소득공제율 40%도 큰 실효성을 보이기 힘들다는 시각이 대부분이다. 일반 신용카드에서 제공하는 추가 할인 혜택, 포인트 적립 혜택 등을 포기하고 제로페이를 선택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것이다.
홍 장관이 이런 문제점을 반영해 신용카드 기능을 추가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홍 장관은 제로페이 업무협약식에서 “민간에서 제로페이에 신용카드 기능이 포함된 신제품을 개발해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그러나 제로페이 결제 시스템의 특성상 후불결제 등 신용카드 기능을 추가하려면 여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올해 안에 당장 신용카드 기능을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신용카드 기능 추가를 위해서는 신용카드와 연계된 별도의 QR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하는데 카카오페이 등 민간기업에서도 아직 상용화하지 못했다.
제로페이의 혜택을 넓히는 방안은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
여러 금융공공기관과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제로페이 민간 합동 태스크포스가 소비자 유인책을 놓고 협의하고 있는 만큼 소비자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추가적 혜택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예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