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전력 거래 규모가 지난해 역대 최고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국제사회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인정받지 못하는 부생가스 등 폐기물에너지 비중이 전체의 절반가량에 이르러 신재생에너지의 내실을 다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 2017년 신재생에너지 전력거래 규모가 최고 수준을 달성했다. |
16일 전력거래소가 최근 발간한 ‘2017년 전력시장 통계’에 따르면 2017년 국내 신재생에너지 전력 거래금액은 모두 2조461억 원으로 2017년 1조7042억 원보다 20.1% 늘었다.
2017년 신재생에너지 전력 거래는 통계자료가 처음 만들어진 2001년 이후 최대 규모로 2014년 2조267억 원 이후 3년 만에 2조 원을 다시 넘었다. 2001년과 비교하면 40배 이상인 것으로 파악된다.
발전사들이 전력거래소를 통해 한국전력에 판매하는 전력의 거래금액 가운데 신재생에너지 전력 비중도 4.5%로 역대 최고 수준이었다.
항목별로 보면 철강제품 등의 생산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부생가스와 폐기물에너지 전력이 전체의 47.0%에 이르렀다.
수력에너지가 12.7%로 그 뒤를 이었고 △태양에너지(10.1%) △풍력에너지(9.6%) △바이오에너지(9.2%) △연료전지(5.7%) △석탄가스화 복합발전(IGCC)(3.8%) 등 순서였다.
그러나 부생가스 등 폐기물에너지는 국제에너지기구(IEA) 등 국제사회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정부도 2017년 12월 발표한 '신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서 국제 기준을 감안해 비재생 폐기물을 재생에너지 항목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폐목재 등을 태우는 바이오에너지, 석탄을 가스화하는 IGCC 등도 엄밀한 의미에서 신재생에너지로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제로 태양광과 풍력 등 청정에너지 비중은 30%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