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노사가 주 52시간 근무제 조기 도입 등을 놓고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면서 중앙노동위원회 조정도 실패했다.
노조는 전체 조합원 의견을 물어 총파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중앙노동위는 9일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과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 사이의 3차 조정회의를 열었지만 접점을 찾지 못하고 조정 중지를 결정했다.
노사는 주 52시간 근무제 조기 도입과 관련해 예외직무 범위를 놓고 평행선을 달렸다.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를 놓고도 의견 차이가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정년을 만 63세로, 임금피크제 진입 연령을 만 58세로 각각 현재보다 3년씩 늘릴 것을 요구했지만 사용자협의회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노사는 4월부터 협상을 벌어왔지만 의견 차이가 좁혀지지 않자 6월18일 중앙노동위에 조정절차를 신청했다.
중앙노동위는 6월28일과 7월4일, 7월9일 등 세 차례에 걸쳐 조율에 나섰지만 결국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는 중앙노동위 조정이 무산되면서 쟁의권을 확보하게 된 만큼 11일부터 전체 대표자회의를 연 뒤 조합원 찬반 투표를 거쳐 총파업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이와 별개로 사용자협의회와 교섭도 병행하기로 했다.
금융노조가 총파업을 벌이면 성과연봉제 도입에 반대해 총파업을 했던 2016년 9월 이후 2년여 만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
노조는 전체 조합원 의견을 물어 총파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 김태영 은행연합회장 겸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장(왼쪽)과 허권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중앙노동위는 9일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과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 사이의 3차 조정회의를 열었지만 접점을 찾지 못하고 조정 중지를 결정했다.
노사는 주 52시간 근무제 조기 도입과 관련해 예외직무 범위를 놓고 평행선을 달렸다.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를 놓고도 의견 차이가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정년을 만 63세로, 임금피크제 진입 연령을 만 58세로 각각 현재보다 3년씩 늘릴 것을 요구했지만 사용자협의회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노사는 4월부터 협상을 벌어왔지만 의견 차이가 좁혀지지 않자 6월18일 중앙노동위에 조정절차를 신청했다.
중앙노동위는 6월28일과 7월4일, 7월9일 등 세 차례에 걸쳐 조율에 나섰지만 결국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는 중앙노동위 조정이 무산되면서 쟁의권을 확보하게 된 만큼 11일부터 전체 대표자회의를 연 뒤 조합원 찬반 투표를 거쳐 총파업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이와 별개로 사용자협의회와 교섭도 병행하기로 했다.
금융노조가 총파업을 벌이면 성과연봉제 도입에 반대해 총파업을 했던 2016년 9월 이후 2년여 만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