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가 늘어나는 속도가 느려졌지만 부실화 위험성은 커지고 있다.
신용대출이 계속 늘어나고 있고 비은행권 대출의 연체율도 높아지고 있다. 돈을 제때 갚기 힘든 고위험가구의 비중도 커지고 있다.
▲ 20일 한국은행의 '2018년 6월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가계부채 증가율은 1분기 기준 8%에 머물렀지만 신용대출과 비은행권 대출 등의 위험성은 커진 것으로 파악됐다. 사진은 서울의 한 은행 영업점에서 대출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 <뉴시스> |
20일 한국은행이 국회에 낸 ‘2018년 6월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가계부채는 1분기 기준 1468조 원으로 집계돼 2017년 같은 기간보다 8% 늘어났다. 이 증가율은 2017년 4분기의 8.1%보다 0.1%포인트 낮다.
그러나 담보대출보다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 증가율은 1분기 기준 11.8%로 집계돼 2017년 4분기 10.8%에서 1%포인트 높아졌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이 7.0%에서 5.3%로 떨어진 것과 반대된다. 소비자들이 주택담보대출 규제의 강화에 대응해 신용대출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과 상호금융기관 등 비은행금융기관은 1분기 기준으로 대출 연체율 1.54%로 집계됐는데 2017년 4분기 1.38%보다 0.16%포인트 높아졌다. 대출 연체율 상승폭이 2015년 1분기 0.18%포인트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에 올랐다.
은행에서 대출을 받지 못한 가계가 비은행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리는 사례가 늘어났고 대출금리도 오르기 시작하면서 연체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금융안정보고서에서 “2017년 말부터 연체된 대출잔액이 직전 년도의 같은 기간과 비교해 늘어나기 시작했고 제2금융권의 연체율도 점차 오르고 있어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내 은행들이 3월 기준으로 전세자금 72조2천억 원을 빌려줘 2014년 35조 원보다 2배 이상 늘어난 것도 장기적 문제로 지적됐다.
전세자금대출은 대부분 변동금리를 적용하고 있어 금리 상승기조가 이어지면 대출자의 부담도 빠르게 커진다. 다주택 임대가구의 34.2%가 자산보다 많은 빚을 짊어지고 있기도 하다.
고위험가구도 3월 기준 34만6천 가구로 확인돼 부채가 있는 전체 가구의 3.1%를 차지했다. 2016년 같은 기간보다 10.8%(3만4천 가구) 늘어났다.
고위험가구는 소득과 비교한 원리금 상환비율이 40%를 넘어섰고 자산평가액과 대비한 전체 부채도 100%를 돌파한 가구를 말한다. 소득이나 자산 매각 등으로 빌린 돈을 갚기 힘들어 부채가 부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고위험 가구의 비중도 3.1%에서 3.5%, 2%포인트 오르면 3.1%에서 4.2%로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