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가 5년 여만에 최저치로 떨어지면서 정부가 석유유통업계에 기름값 인하에 협조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업계는 지금도 충분히 인하분을 반영하고 있다며 오히려 유류세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정부 기름값 인하 요구에 업계 유류세 때문 '발끈'  
▲ 채희봉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산업정책관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서울 에너지기술평가원에서 석유 및 LPG유통업계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 대한석유협회, 석유유통협회, 주유소협회, 대한 LPG협회 등 석유유통단체들과 소비자단체인 에너지·석유시장감시단이 참석했다.

채희봉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산업정책관은 “국제유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데 주유소 판매 기름값 하락 속도는 이를 따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국민 정서”라며 “서민들 기름값이 싸져서 유가하락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업계에서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앞으로 휘발유와 LPG값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알뜰주유소 확산, 전자상거래 활성화 등 경쟁을 촉진해 기름값 인하를 유도하기로 했다.

정부가 업계에 휘발유값을 인하하라는 압박을 하자 업계는 반발하고 있다. 이미 국제유가하락분이 휘발유값에 반영됐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오히려 국내 휘발유값 하락세가 더 크다고 지적했다. 국제 휘발유값은 지난해 리터당 327.5원 떨어졌는데 국내 정유사의 휘발유값은 335.8원 떨어졌다.

다만 주유소별로 가격이 큰 폭으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기름값은 다소 높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개별 주유소가 기름값을 책정하는 것은 각자 판매전략과 경쟁상황에 따른 것이므로 강압적으로 통제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국내 휘발유값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은 유류세라는 지적이 많다. 휘발유 값의 절반이 넘는 세금 인하없이 기름값 하락은 어렵다는 것이다.

휘발유값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초 49%에서 현재 56%로 높아졌다. 특히 원유수입에 대한 관세 3%와 부가가치세 10%를 제외하고 리터당 762원 가량이 유가에 관계없이 정액으로 부과되는 세금이다. 이 때문에 유가가 하락할수록 세금 비중은 높아진다.

하지만 정부는 유류세 인하는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 채 정책관은 “국제유가 변동과 관계없이 일정한 세수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유류세는 정액제로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7일 “유가하락과 관련해 세금문제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