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이 1분기에 순이익에서 급감한 실적 성적표를 내놓았다.

보험영업이익이 감소한 데다 지난해 1분기 반영된 일회성 매각이익에 따른 차이도 영향을 받았다.
 
삼성생명, 보험영업이익 감소 탓에 1분기 순이익 급감

▲ 현성철 삼성생명 대표이사 사장.


삼성생명은 1분기에 순이익 3900억 원을 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1% 줄었다.

삼성생명은 1분기에 수입보험료 5조2840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1분기보다 7.7% 줄어들었다.

보험영업이익은 3460억 원을 거뒀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9% 감소했다.

자산처분 등 일회성 이익은 2017년 1분기 금융자산 처분이익과 부동산 처분이익 등 1230억 원으로 나타났으나 2018년 1분기에는 220억 원을 보였다.   

1분기 신계약 연납화보험료(APE)는 7천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7% 줄었다. 연납화보험료는 모든 보험료를 연간 기준으로 환산한 지표다.

다만 신계약가치는 3190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4.8% 증가했다. 신계약가치는 보험계약을 체결한 뒤 보험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수익과 비용을 모두 계산해 장래이익으로 바꿔 측정한 값이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신계약가치는 연금 및 저축성 연납화보험료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신계약마진을 개선해 증가했다”며 “신계약마진은 보장성 연납화보험료 비중 확대로 45.6%까지 올랐다”고 말했다.

1분기 사업비율은 7.8%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7%포인트 올랐다. 수입보험료가 감소하고 인건비가 증가해 사업비율이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손해율도 나빠졌다. 1분기 손해율은 84.1%로 집계됐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포인트 악화됐다.  

1분기 운용자산이익률은 3.8%로 지난해 1분기보다 2.8%포인트 낮아졌다. 매각이익과 배당수익이 감소한 영향으로 운용자산이익률이 낮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재무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RBC)비율은 3월 기준 304%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보다 14%포인트 낮아졌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