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삼성증권의 유령 주식 사고와 관련해 내부에서 불공정거래가 일어났을 가능성을 살펴보기로 했다.
최 위원장은 10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에서 열린 ‘농림수산업 혁신성장을 위한 간담회’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삼성증권 문제는 회사 내부의 허술한 통제 시스템에 일부 직원의 도덕적 해이와 지나친 탐욕이 결합돼 나타난 문제”라고 밝혔다.
금융위 자본시장조사단은 9일 삼성증권을 현장조사하면서 착오로 입고된 주식을 팔아치운 직원들의 휴대전화를 임의제출 방식으로 확보했다.
최 위원장은 “직원들 사이에 오고간 메신저나 이메일 등도 추가로 받을 것”이라며 “불공정 내부거래 여부를 살펴보고 혐의가 있다면 그에 맞는 처벌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삼성증권 문제는 금융에 있어 신뢰가 얼마나 중요하고 이런 문제가 시장 전반에 불신을 퍼뜨릴 수 있는지 확인한 계기”라며 “근본적 제도 개편방안을 금융감독원을 비롯한 모든 관계기관 등과 협의해 찾겠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삼성증권 사고를 계기로 공매도 폐지론이 제기되고 있는 데에는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
공매도는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빌려 먼저 판 다음 주가가 떨어지면 그 주식을 사들여 되갚는 방식이다. 이때 주식을 빌리지 않고 먼저 팔기부터 하면 무차입 공매도로 분류된다.
최 위원장은 “(이번 삼성증권 사태는) 공매도와 관련이 없다고 말할 수 있다”며 “무차입 공매도뿐 아니라 차입 공매도까지 금지된 상황이었어도 이번과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공매도 폐지론을 자체를 놓고도 “다른 주요 선진국도 공매도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며 “공매도제도도 효용성과 유용성이 있어 무작정 폐지하자는 주장을 꼭 옳다고 보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다만 최 위원장은 “물론 공매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며 “앞으로 제도를 고쳐야 할 부분이 있는지 관계기관과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최 위원장은 10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에서 열린 ‘농림수산업 혁신성장을 위한 간담회’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삼성증권 문제는 회사 내부의 허술한 통제 시스템에 일부 직원의 도덕적 해이와 지나친 탐욕이 결합돼 나타난 문제”라고 밝혔다.

▲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10일 서울 농협중앙회에서 열린 '농림수산업 혁신 성장 간담회'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금융위 자본시장조사단은 9일 삼성증권을 현장조사하면서 착오로 입고된 주식을 팔아치운 직원들의 휴대전화를 임의제출 방식으로 확보했다.
최 위원장은 “직원들 사이에 오고간 메신저나 이메일 등도 추가로 받을 것”이라며 “불공정 내부거래 여부를 살펴보고 혐의가 있다면 그에 맞는 처벌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삼성증권 문제는 금융에 있어 신뢰가 얼마나 중요하고 이런 문제가 시장 전반에 불신을 퍼뜨릴 수 있는지 확인한 계기”라며 “근본적 제도 개편방안을 금융감독원을 비롯한 모든 관계기관 등과 협의해 찾겠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삼성증권 사고를 계기로 공매도 폐지론이 제기되고 있는 데에는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
공매도는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빌려 먼저 판 다음 주가가 떨어지면 그 주식을 사들여 되갚는 방식이다. 이때 주식을 빌리지 않고 먼저 팔기부터 하면 무차입 공매도로 분류된다.
최 위원장은 “(이번 삼성증권 사태는) 공매도와 관련이 없다고 말할 수 있다”며 “무차입 공매도뿐 아니라 차입 공매도까지 금지된 상황이었어도 이번과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공매도 폐지론을 자체를 놓고도 “다른 주요 선진국도 공매도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며 “공매도제도도 효용성과 유용성이 있어 무작정 폐지하자는 주장을 꼭 옳다고 보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다만 최 위원장은 “물론 공매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며 “앞으로 제도를 고쳐야 할 부분이 있는지 관계기관과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