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70~2017년 총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통계청> |
지난해 8월 내놓은 8.2부동산대책의 영향으로 이사 건수가 줄어들면서 인구 이동률이 45년만 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국내 인구 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거주지를 변경한 이동자 수는 715만4천 명으로 전년보다 3.0%(22만4천 명) 감소했다.
지난해 전체 이동인구 가운데 주택 때문에 전입한 인구는 295만6천 명으로 전년(316만8천 명)과 비교하면 21만2천 명이 줄어들었다.
지난해 감소한 이동인구 수의 94.6%가 주택 변경에 따른 인구이동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7월까지 이동자 수는 전년에 비해 1% 정도 감소하는 것에 불과했지만 9월 이후 이동자 수는 6% 이상 줄었다.
이는 정부가 8월에 청약 1순위의 자격 요건을 강화하고 투기 수요를 억제하는 내용을 담은 8·2부동산대책을 내놓은 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됐다.
지난해 인구 이동률은 14%로 2016년과 비교해 0.5%포인트 줄었고 1972년 이후 4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인구이동률은 주민등록인구 100명 당 이동자의 비율을 말한다.
시도 내 이동률은 9.3%이고 시도 간 이동률은 4.7%로 각각 2016년보다 0.3%포인트, 0.1%포인트 줄어들었다.
연령별 이동률은 20대(21.4%)와 30대(21%)가 가장 높았다. 전년과 비교해 20대와 60대, 80대는 이동인구 수가 늘어난 반면 30대와 40대, 50대, 70대의 이동인구 수는 줄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출자보다 전입자가 많아 순유입이 많았던 곳은 세종과 제주, 충남·경기 등 7곳이었다. 순유입률은 세종 13.3%, 제주 2.2%, 충남·경기 0.9%였다.
순유출이 많았던 곳은 대전과 울산, 서울 등 10곳으로 대전은 1.1%, 서울·울산은 1%의 순유출률을 보였다. 이들 지역에서 빠져나간 사람들은 주로 경기와 충남 지역으로 거주지를 옮긴 것으로 파악됐다.
4대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이 1만6천 명 순유입으로 집계돼 5년 만에 순유입으로 전환했다. 중부권은 4만2천 명이 순유입됐지만 호남권은 1만8천 명, 영남권은 5만4천 명만큼 순유출됐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