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이 12일 서울 광화문 KT빌딩에서 열린 제4차 일자리위원회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
일자리위원회가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분야를 중심으로 2022년까지 26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건설현장의 임금체불을 없애기 위해 제도개선을 추진하고 일자리 정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일자리 통계도 개선한다.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는 12일 서울 광화문 KT빌딩에서 이용섭 부위원장 주재로 제4차 일자리위원회 회의를 열고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 기반 일자리 창출방안, 건설산업 일자리 개선방안, 일자리 통계 개선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10월18일 제3차 회의에서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을 발표한 뒤 처음 열렸다.
일자리위원회는 이번 회의에서 5년 로드맵에 따른 분야별 일자리 대책을 구체화하고 로드맵 이행점검 방안 등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3차 회의까지 국정운영체계를 일자리 중심으로 개편하는 등 일자리 인프라를 구축하고 임기 중 추진할 5년 로드맵을 수립하는 데 주력했다”며 “이제는 기업과 지역에서 가시적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주력할 때”라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만든 각종 일자리정책들이 현장에서 제대로 시행되는지 점검해 상응하는 보상을 실시하고 일자리 우수사례를 적극 발굴할 것”이라며 각 부처에 △실업이 두렵지 않은 소득안정 △재취업을 위한 훈련 및 지원서비스체계 혁신 △혁신성장을 위한 규제혁신 방안을 구체화할 것 당부했다.
이 부위원장은 “특히 앞으로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유기적 협력관계를 구축해 기존 일자리가 없어지고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국민들의 일자리 불안에 능동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회의에 참석한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은 일자리위원회와 함께 4차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한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분야의 일자리 창출방안을 논의하고 공동으로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2년까지 핵심소프트웨어 전문 융합인재 2만 명, 연구산업계 일자리 1만2천 개, 실험실 일자리 1만 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까지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분야에서 20만 명 이상의 신규 인력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2018년 상반기까지 정보통신기술분야의 미래직업예측 모델을 개발해 새로운 직업별 필요역량을 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는 건설현장의 임금체불을 뿌리뽑아 일자리의 질을 높이기 위해 공공부문이 진행하는 건설공사에 ‘전자대금지급시스템’ 활용을 의무화하고 ‘임금지급보증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건설근로자가 경력축적 등에 따라 임금수준 향상, 정규직 채용 등의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건설기능인등급제’ 도입을 추진하고 건설현장에 전자적 근무관리시스템(전자카드, 지문인식)을 도입해 건설노동자의 경력관리를 체계화하고 사회보험 가입누락 등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통계청은 고용노동부와 함께 일자리정책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일자리 통계를 대폭 개선하기로 했다.
현재 21개 산업 대분류 기준으로 매년 발표하는 일자리 행정통계를 보완해 228개 산업 소분류 기준으로 분기별로 발표하고 지역별 일자리 증감과 변동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역별 일자리 통계와 4차산업혁명 등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산업별·종사자별 일자리 이동통계도 새롭게 개발하기로 했다.
지역별 일자리 통계와 산업별·종사자별 일자리 이동통계는 내년 기반구축을 시작으로 각각 2020년과 2019년 시범작성하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